|
  |
|
|
|
|
> 게시판 > 농산물뉴스 |
|
|
|
|
 |
 |
* 23일 농산물 유통혁신대전에서 열린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거래실적 5000억원 달성 기념 퍼포먼스. 사진=농식품부
농식품부, 23일 목표 달성 기념 농산물 유통혁신대전
농산물 유통 디지털 전환 우수 5개소 시상
식품저널 나명옥 기자 2024. 12. 23
지난해 11월 30일 출범한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의 올 거래액이 12월 17일 기준 5524억원으로 당초 목표 5000억원을 초과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 5000억원 거래 목표 달성을 기념해 23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농산물 유통혁신대전을 개최했다.
농수산물 온라인도매시장의 올 거래액 목표 초과 달성은 그동안 농식품부에서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한 거래 품목 확대(1월 39개→12월 195), 판매자 가입 요건 완화(연간 거래 규모 50억원 이상→20) 등 제도 개선의 결과로 보인다.
온라인도매시장은 판매자의 물류비용 절감, 구매자의 탐색비용 절감 등 이점으로 판ㆍ구매자 참여가 확대(1월 331개소→12월 3736)됐고, 전체 거래의 61.8%가 산지에서 소비지 중소형마트 등으로 상품이 직접 배송돼 물류 효율성도 높였다. 실제 올해 온라인도매시장 거래 성과를 수치로 보면, 농가 수취가 3.5% 상승, 유통비용 7.4% 절감, 소비자 후생 3.9%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날 행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및 유관기관, 농업인단체, 유통업계 관계자, 학계, 전문가 등 150여 명이 참석했으며, 디지털 유통혁신 주요 성과 보고, 온라인도매시장 5000억원 달성 기념식, 농산물 유통 혁신기업 시상식 등을 했다.
농산물 유통 혁신기업 대상은 제주농협조합공동사업법인이 받았다. 제주조공은 온라인도매시장 출범 초기부터 감귤을 가지고 온라인 전용 특화상품을 개발, 출시하면서 거래처를 10개소 추가 확보하는 등 디지털을 활용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으며, 이를 통해 유통비용 10.1% 절감, 농가수취 4.5% 제고, 소비자 후생 5.6% 증가라는 성과를 올렸다.
최우수상은 국내 1호 스마트 산지유통센터(APC)를 운영 중인 만인산농협이 수상했다. 만인산농협은 스마트 APC를 통해 취급물량을 확대(취급액 46% 증가)하고, 단순ㆍ반복 업무 자동화로 생산성을 28.6% 높였으며, APC 입ㆍ출고 정보를 디지털화, 체계적인 농가 관리와 소비지 변화에 맞춘 신상품 개발도 능동적으로 할 수 있게 됐다. 이로 인해 만인산농협에 출하하는 농가 조소득이 30.6% 증가했다.
우수상은 올 추석 사과와 배를 대상으로 전자송품장 기반 입차 스케줄링을 선제적으로 도입, 시장 내 물류 효율화(차량 대기시간 평균 9시간→3)를 이뤄낸 서울청과가 받았으며, 장려상은 해외 기술에 의존했던 농산물 선별ㆍ검사 시스템을 국산화해 산지 유통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 에이오팜과 온라인도매시장을 통해 신규 거래처를 확보, 한우 지육 구입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가격을 낮추는데 기여한 신선피엔에프이 수상했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농산물 유통구조 혁신의 최종 목표는 생산자가 제값을 받고 소비자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농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유통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라면서, “앞으로도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농업인, 유통 관계자 그리고 유관기관과 함께 유통구조 혁신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