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연, 성과분석 보고서 내놔
한농대 출신 상대적 우위 보여
저조한 수강률 제고 방안 숙제
“일률적 진행 지양·예산확대도”
농민신문 김소진 기자 2024. 11. 19
농지와 농가인구 감소 속 국내 농업생산성을 개선할 돌파구로 ‘자본’ 투자 확대가 꼽힌다. 자본의 주요 축에는 ‘인적 자본’이 자리한다. 전문가들은 양질의 인적 자본을 확보하기 위해 ‘교육’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한다. 이런 인적 자본 향상은 청년농이라는 농업의 미래 주체 양성과도 직결돼 주목도가 특히 높다.
◆농업 교육이 좌우하는 농업소득
체계적인 농업 교육을 받은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졸업생이 비졸업생보다 농업소득이 연평균 약 118만원 더 많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최근 내놓은 ‘농업 교육 투자의 성과 분석: 농업 관련 대학 졸업생의 영농 지속성을 중심으로’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19년 농업에 신규 진입한 경영주 가운데 한농대 졸업생(125명)과 비졸업생(424명) 간 농업소득 격차가 나타났다. 3년간 체계적으로 농업 관련 교육을 받은 한농대 졸업생은 비졸업생과 견줘 영농 경력이 1년 증가할 때마다 농업소득이 118만원가량 더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후계농이 많은 한농대의 특성을 고려해 부모의 영농 여부 등 가족 배경으로 인한 효과를 제거한 결과다. 박미선 농경연 부연구위원은 “한농대 교육 운영사업에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농업 교육과 소득 간 연결고리는 꾸준히 증명됐다. ‘농촌경제’에 실린 한 연구는 농업 교육을 받은 농업경영체 433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교육 직후 3년간 농가소득 누적 증가율이 평균 17.54%로 집계되기도 했다.
◆농업 교육, 필요성 높지만…저조한 수강률
한농대 졸업생과 비졸업생 사이에 교육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모두 영농 진입 초기에 ‘기초영농 교육’ ‘품목별 전문기술 교육’ 수요가 높았다. 한농대 졸업생의 경우 재학기간 중 이같은 교육에 참여하는 사례가 많지만, 비졸업생의 관련 교육 수강률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례로 ‘품목별 전문기술 교육’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한농대 졸업생(56.8%)과 비졸업생(48.1%) 모두 높았지만, 실제 수강률은 46.4%·24.1%로 격차가 컸다. 마케팅 관련 교육에서는 필요성을 인식했다는 응답과 실제 수강했다는 응답 간 차이가 한농대 졸업생은 0.8%포인트, 비졸업생은 8.0%포인트로 더 컸다.
박 부연구위원은 “특히 (비졸업생의 경우) 회계 관리(장부기입 등) 관련 교육, 마케팅 관련 교육 참여율이 매우 낮았다”며 “필요하다고 인지하지만 실제 교육에 참여하지 못한 원인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분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현장에서는 교육이 수요와 어긋나는 현실에서 원인을 찾는다. 귀농 9년차인 청년농 A씨는 “교육은 많이 열리지만, 뜬구름 잡는 이야기만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다”며 “농업은 작목·지역별로 배워야 할 내용이 달라 이런 상황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현장 밀착형 교육이 더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한 전문가는 “마케팅 교육은 농업 생산·유통 구조에 대한 기반 지식이 있어야 하는데 이런 역량을 갖춘 강사가 많지 않다”고 했다.
◆“현장 수요 맞는 교육 확대해야”
전문가들은 현장 중심의 기술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본다. 최범진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 정책조정실장은 “지역 생육환경과 농가 선택 품목이 상이한 만큼 일률적인 교육보다는 선도농가에 1대1로 멘토링을 받으려는 교육 수요가 더 높다”며 “하지만 현재 농업경영체 등록 이후에는 정부 멘토링 지원사업에 신청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헀다. 이어 “‘초보 청년농부 멘토링 지원사업’ 등 선도농가와 현장에서 소통할 수 있는 사업을 영농정착지원사업 의무교육 과정에 포함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예산 확대도 과제로 남는다. 정부는 ‘제1차 후계·청년농 육성 기본계획’을 내놓고 성장단계별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는 안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할 예산이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농 영농정착지원사업의 규모가 확대되면서 신규 사업 참여자가 늘었지만, 교육 관련 예산 증가폭이 이를 뒷받침하지 못한다는 분석이다. 농업인 교육 지원사업 예산은 2020년 529억원에서 올해 494억원으로 6.6%, 같은 기간 스마트농업 육성 관련 예산은 1097억원에서 932억원으로 15% 감소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