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축산물 수급 안정과 수출활성화 위해 최선”
이동필 농식품부장관 취임 1주년 특별인터뷰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7일 올해 농산물 수급안정과 수출 활성화에 총력을 경주하겠다고 밝혔다. 또 조류인플루엔자(ai)가 종식되는 대로 가축전염병 방역시스템을 전면 재정비하겠다고도 했다.
이 장관은 이날 <농민신문>과 가진 취임 1주년 특별 인터뷰에서 최근 현안이 되고 있는 채소값 하락과 관련, “생산자와 유통인 등 이해관계인의 참여를 제도화한 수급조절위원회 기능을 강화해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이 장관은 “지난해 재배면적이 늘고 기상이 좋아 생산량이 늘면서 채소류 전반에 공급과잉으로 가격이 하락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올 들어 채소류 수급불안을 위해 농산물 수급조절위원회를 두 차례 개최해 대책을 추진한 것처럼 앞으로도 수급조절위원회와 수급조절 매뉴얼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농산물 가격과 수급이 안정되려면 사전적으로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충분한 정보가 제공돼야 한다”며 “채소류 생산과 가격 전망의 예측력을 높이는 데도 힘쓰겠다”고 했다.
이 장관은 “농산물 수출 농가에 지원을 집중하고 수출농산물의 안정적인 공급이 이뤄지도록 수출전문 공선출하회, 수출전업농 같은 수출 정예를 육성하는 데도 역점을 두겠다”면서 “민관 합동 농식품 수출개척협의회를 통해 수출농가와 업계가 현장에서 겪는 어려움을 적극 해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 장관은 이어 “ai 조기종식을 위해 모든 역량을 쏟을 것”이라면서 “ai가 종식되는 대로 발생원인과 전파경로에 대한 분석과 함께, 소독·예찰·살처분 등 현재의 방역수단을 되짚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또 “방역조치에 협조한 피해농가는 제대로 보상하겠지만 ai가 반복 발생한 농가는 살처분 보상금을 감액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반복적으로 ai가 발생한 농가에 국민세금을 지속적으로 투입할 수는 없지 않느냐”고 반문했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의 ai 발생에 대해서는 “농진청이 감사를 진행 중”이라면서 “감사결과 잘못이 드러난다면 단호히 처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장관은 쌀 관세화에 대해선 “정부가 할 수 있는 모든 대안을 국내외에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농민단체·전문가 등에 대한 광범위한 의견 수렴과 쟁점검토를 거쳐 6월까지 정부 입장을 정할 것”이라며 “정부 입장이 결정되면 국회보고 등을 통해 투명하게 결과를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남우균·서륜 기자 wknam@nongmin.com 2014-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