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 박사 김소형씨가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서 ‘양배추김치’를 소개하고 있다. 유트브 캡처
G마켓, 9월24~10월7일 거래액 집계 결과
양배추·양상추 각각 44%·41% 올라
포장김치도 깍두기·열무김치로 수요 이동
농민신문 함규원 기자 2024. 10. 11
배추 가격이 상승하면서 대체 품목으로 양배추·양상추 등의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몰 지(G)마켓에 따르면 9월24일~10월7일 양배추·양상추 거래액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4%, 41% 증가했다. 소비자들이 배추 대체재로 양배추·양상추를 구매하는 것으로 풀이된다는 게 G마켓의 설명이다.
같은 기간 양파·케일·오이·파프리카의 거래액도 전년 동기 대비 91%·53%·31%·20% 증가했다. 이들 채소류는 김치를 대신할 수 있는 절임·소박이에 많이 쓰인다.
포장김치 판매액도 증가했다. G마켓의 포장김치 전체 거래액은 전년 동기 대비 29% 신장했다. 품목별로는 깍두기가 820%로 성장률이 가장 컸고 묵은지(120%)·열무김치(100%)·백김치(41%)가 뒤를 이었다. 반면 배추김치 거래액은 9% 증가하는 데 그쳤다.
9월말 한포기당 1만원에 육박했던 배추 소매가격은 10월 들어 다소 주춤해졌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0일 기준 배추 소매가격은 상품 한포기당 평균 9132원으로 지난해(6937원)보다 31.6%, 평년(7428원)보다 23.0% 높다.
G마켓 관계자는 “배추김치를 대신해 양배추김치·양파절임·오이소박이 등에 들어가는 채소류와 포장김치에 대한 수요가 늘고, 포장김치도 배추김치에서 깍두기·묵은지·열무김치 등으로 수요가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