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농민신문] 정부, 고령화 농촌마을 살리기 나서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4-03-14 조회 7521
첨부파일


                                  정부, 고령화 농촌마을 살리기 나서

                          주민 주도 마을만들기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 추진

     [농촌 마을이 사라진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로 농촌활력이 저하되고 과소화 마을이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농촌 공간을 ‘행복한 삶터, 창조적 일터, 매력 있는 쉼터’로 탈바꿈시켜 나가기 위한 정책을 다방면으로 추진 중이다.

 농촌 주민이 생활하는 데 불편함 없이 경제활동 및 교육·문화·복지 서비스를 영위하는 생활공간으로 농촌지역을 발전시켜 생기 넘치는 생활권으로 바꿔나가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정부가 중점 추진 중인 정책과제는 ▲주민 주도 마을만들기 활성화 ▲마을 기초서비스 및 공동체 소득증대 ▲농어촌 중심지 육성 ▲농어촌 지역별 특화 발전 ▲지자체간 연계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 등이다.

 주민 주도 마을만들기 활성화 대책은 마을의 유·무형 자원과 역량을 진단해 소득사업을 발굴하고 지역 문화·복지서비스 확대, 고령자 맞춤형 서비스체계 구축 등을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2012년 매뉴얼이 마련돼 지난해 전국 234개 마을에서 시행 중이며, 2017년까지 2000개 마을로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마을 기초서비스 및 공동체 소득증대 사업은 고령자 맞춤형 마을서비스를 체계화하고 편리하고 안전한 농촌을 만드는 방향으로 추진 중이다. 마을회관·경로당 등의 공동급식시설 설치나 가사도우미 지원, 다양한 형태의 독거노인 공동생활홈 조성 등이 그것이다. 이와 함께 마을 상하수도, 마을안길은 2017년까지 면소재지 수준으로 향상시켜 현재 거주민이나 귀농·귀촌 주민들의 불편함을 최소화한다는 복안이다.

 활용도가 낮은 마을회관이나 마을창고 등을 문화·복지·소득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리모델링해 찾아가는 문화·복지·건강서비스도 확대해나갈 방침이다.

 농어촌 중심지 육성을 위해 시·군별 3~4곳의 거점 읍면소재지를 활성화하는 한편 농촌의 부존자원을 활용한 2·3차 산업을 융복합해 지역별 특색사업을 적극 발굴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20인 이하 과소화마을이 3091개로 전체 3만6496개 마을의 8.5%에 달해 농어촌지역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 중”이라며 “지자체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확대해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마을을 적극 육성해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성홍기 기자 hgsung@nongmin.com    2014-03-14

  [농민신문] ‘농식품 소비시장 1000조원’ 중국을 잡아라
  [농축유통신문] 배추 생산·유통비용 정확히 따져보니 헛점투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