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농민신문] AI를 국가 전면에…정부, ‘3대 강국’ 도약 총력전 선언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4-09-27 조회 1182
첨부파일 20240926500406.jpg
*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대통령 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및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대통령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26일 첫 회의

          ‘AI기본법’ 제정 추진…‘국가AI컴퓨팅센터’ 개소 

          제조·서비스업 AI 전환 프로젝트 300개 이상 추진

          민간 산업계, 2024~2027년 AI분야 65조원 투자



                                                                                              농민신문  김동용 기자  2024. 9. 26



 정부가 2027년까지 ‘인공지능(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AI 국가 총력전’에 나선다. 이를 위해 주요 제조·서비스업 분야에서 300개 이상의 선도 프로젝트를 지정해 지원하고, 2조원 규모의 ‘국가AI컴퓨팅센터’를 개소할 계획이다. 아울러 제도적 지원을 위한 ‘AI 기본법’ 제정도 연내 추진한다.

이 같은 정부의 로드맵은 26일 서울 포시즌스호텔에서 열린 대통령직속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및 제1차 회의에서 윤곽이 드러났다.

윤석열 대통령이 위원장인 국가인공지능위원회에는 AI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민간위원 30명과 주요 부처의 장관급 정부위원 10명,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 및 국가안보실 제3차장 등이 참여했다. 위원회는 AI 관련 범국가적 역량을 모으는 민·관 원팀의 구심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 산업통상자원부는 ‘산업 AI 전환(AX)’ 확산을 위한 정책 방안을 보고했다. 2030년까지 ‘산업 AX 3대 프로젝트’를 통해 현재 31% 수준인 기업의 AI 활용률을 70%까지, 현재 5% 수준인 제조 현장의 AI 도입률을 40%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2027년까지 주요 제조·서비스업을 대상으로 ‘AX 선도 프로젝트’를 300개 이상 추진할 계획이다. 이는 기업들의 연구개발(R&D)·금융·컨설팅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산업 현장의 모범 AI 적용 사례를 만드는 프로젝트로, 우선 내달까지 25개 프로젝트를 선정해 각각 최대 100억원을 지원하고 2027년까지 총 300개 이상 프로젝트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국가 AI전략 정책방향’에는 ▲‘국가AI컴퓨팅센터’ 구축 ▲AI 활성화를 위한 민간의 65조원 투자 ▲2030년까지 산업분야 AI 도입률 70%, 공공부문 AI 도입률 95% 달성 등이 담겼다.

정부는 우리 산업·연구계가 보유한 AI 연산 인프라가 해외 대형 IT 기업들보다 크게 부족하다고 보고 2030년까지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보유 규모를 15배 이상으로 확충할 계획이다. 이 같은 규모는 현재 GPU 시장 선두 업체인 미국 엔비디아 사의 고가 GPU 제품인 ‘H100’ 3만개를 합친 규모에 해당한다. 이를 위해 민간 산업계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4년간 AI 분야에 총 65조원을 투자하고,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최대 2조원을 들여 국가AI컴퓨팅센터도 구축할 예정이다. 

정부는 이러한 컴퓨팅 파워 확보와 더불어 산업·공공·사회·지역·국방 등 국가 전반적 영역에서 AI 전환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산업분야 70%, 공공부문 95%로 AI 도입률을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AI기본법을 연내 제정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AI기본법에는 AI 발전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고 AI를 악용한 가짜뉴스나 딥페이크 같은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내용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박상욱 대통령실 과학기술수석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국가인공지능위원회 출범식 관련 브리핑을 통해 “(연내) AI 기본법이 제정되도록 하겠다”며 “민간투자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조세 특례 등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농민신문] 확대되는 ‘공공형 계절근로’ 제도 정비 급선무
  [뉴스1] ''金배추''에 포장김치 업계 비상…비축 물량 소진, 수급 조절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