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한국농어민신문] 2024년산 노지감귤 40만8300톤 예상…품질 ‘상승’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4-09-06 조회 1262
첨부파일 330575_66417_1245.jpg


           전년 관측량 대비 4.2% 감소…착과량, 제주 많고 서귀포 적어



                                                                                   한국농어민신문  강재남 기자  2024. 9. 6



 2024년산 노지감귤 생산량이 40만83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제주특별자치도 감귤관측조사위원회(위원장 김철수)와 제주특별자치도농업기술원(원장 고상환)은 지난 5일 2024년 노지감귤 착과상황 관측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관측조사위에 따르면 올해 제주지역 전체 감귤 생산예상량은 39만2300톤에서 42만4300톤으로 평균 40만8300톤 내외가 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2023년산 최종 관측량 42만6400톤보다 1만8100톤·4.2%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관측조사위는 현재 재배면적 1만3764ha 중 비생산 면적을 제외한 1만3128㏊를 기준으로 산출했다.

지역별는 제주시 지역이 지난해 해거리 영향으로 착과량이 증가했으며, 서귀포시 지역은 올해 해거리로 착과량이 감소했다. 

나무 한 그루당 평균 열매 수는 878개로 전년 735개보다 143개 많았으며, 최근 5년 평균 783개보다 95개 많았다. 

제주시는 1044개로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00개·413개 증가, 서귀포시는 790개로 각각 175개·169개 줄어드는 등 지역별·나무별 착과량 편차가 컸다.

과실 크기는 43.4㎜로 전년 44.2㎜보다 0.8㎜, 5년 평균 43.8㎜ 보다 0.4㎜ 작았다. 

2024년산 감귤 평균 당도는 7.3브릭스로 전년산과 비교해 0.3브릭스, 5년 평균에 비해 0.5브릭스 높았으며, 산 함량은 3.10%로 전년에 비해 0.51%p, 5년 평균보다 0.27%p 낮았다.

관측조사위는 7~8월에 강수량이 적고 평균기온 및 일조가 좋아 품질이 향상된 것으로 파악했다. 

김동현 농업관측팀장은 “최근 폭염과 국지성 소나기 등 이상기상에 따른 열과 피해가 확대되고 있다”며 “향후 기상변화에 따른 감귤 생육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최종 생산예상량 산출에 반영하는 등 수급조절을 위한 관측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농민신문] ‘無대응 300일이면 국민 40% 감염’…신종 인플루엔자 대비 어떻게?
  [한국농어민신문] 올 제주 여름, 관측 이래 가장 더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