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위원장 어기구)가 실시한 농협중앙회 업무보고에서 농업지원사업비(이하 농지비) 규모를 늘리는 동시에 지역농협의 대출 연체율을 줄일 수 있는 대책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국회 농해수위는 지난 7월 16일 전체회의를 열고 농협중앙회를 비롯한 24개 기관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았다. 이날 회의에서 농해수위 위원들은 농업·농촌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협중앙회의 역할론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농협금융지주의 농지비 규모 확대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는 지난해 농협중앙회 국정감사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이만희 국민의힘(경북 영천·청도) 의원은 “지난해 농협금융지주에서 4900여억원을 농지비로 지원했는데, 이 사업비를 두고 말이 많다. 그런데 농협금융지주 계열사의 2023년 특별성과급이 4100억원 정도다. 특별성과급을 준 것을 비난하지 않는다”며 “다만 농업인과 농민을 위한 농협중앙회라면 (현재 지원되는) 농지비가 결코 많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농협 계열의 금융지주는 단순한 이익을 창출하는 시중은행과는 다르다. 농협금융지주를 포함한 계열사는 농업과 농민에 대한 가치와 철학을 공유해야 한다. 농협중앙회장도 이 부분에 정확하게 인식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앞으로 농협중앙회에서 역할을 하겠다. 그리고 (농지비를) 증가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증가 요인을 파악해 그렇게(농지비 증액) 하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지역 농·축협의 대출 연체율이 높아지면서 지역 농·축협은 물론 농민 조합원이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임미애 더불어민주당(비례) 의원은 “일반 금융회사의 올해 4월 기준 연체율이 0.48%인데 지역 농·축협은 3.8% 가량으로 심각한 수준이다. 특히 연체율이 높은 것이 특정 지역 농·축협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라며 “전체 1111개 조합 가운데 올해 5월말 기준으로 586개, 다시 말해 52.7%가 대출 연체율 3% 이상이다. 전반적으로 지역 농·축협이 위기에 빠져 있다”고 말했다. 이에 강호동 회장은 “현재 지역농협 연체율 감축을 위한 추진단을 구성하는 등 연체율 감축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대출 연체율을 1~2%대로 낮추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지역사랑상품권이 지역 농·축협 하나로마트에서 사용되지 못하고 있는 점에 대해선 농협중앙회와 국회가 힘을 모으자는 제안도 나왔다.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제한 문제는 지난 9일 열린 농림축산식품부 업무보고에서도 제기된 만큼 향후 해법을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김선교 국민의힘(경기 여주·양평) 의원은 “농촌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하나로마트를 많이 이용하는데 (지역사랑상품권 사용을) 30억원 이상은 제한을 두고 있어 개선점을 찾아야 될 것”이라고 제안했고, 강호동 회장은 “(지역사랑상품권의 하나로마트 사용은) 농협의 매출과 이익에 도움된다는 것보단 지역의 원로 조합원들이 상품권 사용을 좀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자는 의미다. 위원들께서 도와주셔서 지침 개정이 꼭 됐으면 고맙겠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