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9일 진보당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후위기와 22대 국회의 과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열린 세미나에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이 발제자로 나섰다
진보당, 국회서 기후위기 세미나 개최
한국농정신문 김한수 기자 2024. 5. 30
22대 국회 임기 시작을 앞두고 기후위기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지난 29일 진보당이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후위기와 22대 국회의 과제’ 세미나를 열었다. 이날 열린 세미나에 윤종오·전종덕·정혜경 국회의원과 당직자들이 참여한 가운데,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이 발제자로 나섰다.
조천호 전 국립기상과학원장은 “기후위기가 바로 눈앞까지 닥쳐왔고 이를 극복하지 못하면 농업이 붕괴되고 인류 문명도 사라지는 것”이라며 “지난 수십세기 동안 인류는 전염병·전쟁·자연재난 등 수많은 위기를 겪었지만 이는 모두 인류가 견뎌낼 수 있는 수준의 위기였으나 기후위기는 그것과는 완전히 다른 차원의 문제”라고 경고했다.
지난 2000여년간 지구의 평균 기온이 급격히 올랐을 때는 증기기관이 발명되고 산업혁명이 시작된 때부터다.
조 전 원장은 “산업혁명이 시작되고 100여년 만에 지구의 평균기온이 1도가 상승했다. 겨우 1도냐고 할수도 있지만 지구가 1000여년간 천천히 평균기온을 1도 올렸는데 인류는 10배나 빠르게 평균 기온을 올렸다. 기후가 불안정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조 전 원장은 “기온 상승으로 인해 1980년대 해마다 200회 가량이었던 기상재해(가뭄·홍수·산사태·태풍) 발생건수가 갈수록 증가해 2020년쯤 되니 900회를 훌쩍 넘었다. 기온 상승을 바로 잡지 않는다면 인류의 생존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농업이 붕괴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이 유지된다 해도 농업이 없어진다면 결국 인류 문명은 사라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1988년 인간의 활동에 따른 기후변화의 위험을 평가하고자 UN 산하에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설립됐다. IPCC는 세계의 학계, 정부 및 산업 부문에서 기후변화와 관련된 모든 사항의 표준 참고자료로 평가받는다.
지난해 나온 IPCC 6차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이후 2100년까지 시나리오는 5가지로 나뉘었다. 인류에게 가장 유익한 첫 번째 시나리오에 따르면 2030년까지 평균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할 경우 인류 문명의 지속 가능성이 높아진다. 그러나 가장 나쁜 시나리오대로 된다면 폭우·가뭄 등 재해가 급증하고 농업은 유지가 어려워져 인류가 제대로 살기 힘들 것이라 봤다.
각 부문별 탄소저감 방안도 소개됐다. IPCC 보고서는 △가전기기 및 설비의 효율화 △고형폐기물의 메탄 배출량 저감 △농업에서 메탄과 이산화질소 배출량 저감 △산림 관리와 조림 등을 2030년까지 부문별 탄소저감 방안으로 소개했다.
조 전 원장은 “농업과 임업이 가장 중요하다. 산업·건물·에너지 등 다른 분야보다 많은 양의 탄소를 흡수하기 때문이다. 산림 관리를 잘하고 농법도 친환경적으로 바꾸며 탄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 2022년 OECD가 발간한 보고서 ‘농업분야 토양 탄소 저장(격리)’에도 같은 내용이 들어있다. 해당 보고서는 토양의 탄소 저장 능력을 향상시켜 온실가스 배출을 상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밭을 갈지 않는 무경운 농법이나 화학비료를 대체하는 녹비작물 심기 등을 소개했다.
회복력 있는 지구를 만들기 위해 조 전 원장은 “2030년까지 우리가 무엇을 하느냐에 따라 미래가 결정된다. 환경이 나빠졌지만 인류의 기술로 탄소 배출을 줄여 충분히 개선해 나갈 수 있다”며 “그래야만 미래 세대가 살아갈 수 있다”며 강의를 마쳤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