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아청과의 품목확대를 두고 전국의 중도매인들이 반대 입장을 밝히며, 유통구조 개선을 위해 가락시장 내 시장도매인제도 도입을 주장했다.
한국농산물중도매인조합연합회(회장 이현구)와 전국과실중도매인조합연합회(정석록)는 지난 20일 서울 송파구 가락시장 내 연합회 회의실에서 긴급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 정부가 발표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 중 도매시장법인의 품목확대를 철회해 달라고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은 대아청과가 1995년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8개 품목을 중심으로 시장에 진입했고 이후 품목확대를 꾸준히 요구했으나 가락시장 주체별 이해당사자들은 시장관리운영위원회를 통해 2026년 12월 31일까지 품목확대에 대해 논의하지 않기로 결정된 상황에서 정부가 가락시장 내 이해당사자들과 단 한 번의 논의도 없이 특혜를 주었다고 전했다.
특히 이들은 대아청과의 품목확대로 인해 중도매인의 과당경쟁으로 중도매인의 경영 부실화는 물론 필요 이상의 경쟁으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
또한 가락시장의 현대화사업으로 대아청과는 8개 품목을 하는 조건으로 채소경매장의 절반을 배정받았지만 다른 도매시장법인과 같은 품목을 하게 된다면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다고 말했다.
이현구 회장은 “가락시장 내에 특수품목 중도매인 약 400여명이 다른 품목에서 경매를 하게 된다면 과당 경쟁으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으로 소비자 물가는 높이는 꼴 밖에 안된다”면서 “지금의 관련법도 농산물 거래를 5조원을 하는 시장이나 300억 원을 하는 시장이나 같은 정책으로 평가하고 운영하는 것이 잘못돼 문제점이 지적되는 만큼 규제를 완화하려면 전부다 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현구 회장은 “전국의 공영도매시장에서 수많은 중도매인이 안정적인 농산물 유통에 온힘을 쏟고 있지만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방안에서는 중도매인에 대한 정책은 단 한 줄도 없어 정부가 중도매인을 무시하는 처사가 아닐 수 없다”면서 “중도매인도 농산물 수급과 유통에 핵심 주체인 만큼 시장도매인제도 도입을 통해 유통의 주체로 거듭나길 기원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