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협중앙회가 올해 지난해 대비 27만명이 늘어난 내국인 영농인력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사진은 지난해 농촌지원부의 농촌일손돕기 모습
농촌인력센터 26개소 늘려
외국인근로자 인원도 5400명↑
한국농어민신문 김영민 기자 2024. 4. 2
농협이 올해 지난해에 비해 27만명이 넘는 235만명의 내국인 농촌인력 중개에 나선다. 여기에 외국인 근로자 도입 인원도 늘어나 영농인력 지원이 두터워질 전망이다.
농협중앙회는 올해 영농인력 수요는 지난해와 비슷한 1000만명 수준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인력 수요가 집중되는 시기인 농번기인 4~6월에 약 471만명, 가을철 수확기인 9~11월엔 299만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 이런 전망 속에서 올해 영농인력 공급은 지난해에 비해 나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농촌인력중개센터 확대와 은퇴자의 농촌유입 등으로 인력공급이 늘어나고, 외국인력의 도입 규모가 전년에 비해 양호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이에 농협중앙회는 올해 농촌인력 중개에 연간 235만명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중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통해 154만명, 일반인 일손돕기에 45만명, 임직원 일손돕기 20만명, 사회봉사명령자 16만명의 인력 중개를 계획하고 있다.
세부적으론 농업인들의 안정적 영농활동 지원을 위해 데이터를 기반한 영농인력 수급대응 시스템을 운영한다. 이를 위해 사과, 배, 복숭아, 포도, 무, 배추, 감자, 고추, 마늘, 양파 등 인력 수요 상위 10개 품목을 대상으로 40개 주산지를 선정, 영농 상황 모니터링을 시스템화해 영농인력 수급에 효율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농촌인력중개시스템 내에 구축되는 데이터 기반 영농인력 수급대응 시스템이 운영될 경우 영농인력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영농철 인력수급 대응이 강화되는 것은 물론 지역 간 인력조정 및 수급 우려 지역에 선제적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농촌인력중개센터가 늘어나면서 사업 활성화를 위한 지원도 강화한다. 농협의 농촌인력중개센터는 올해 310개소로 지난해 284개소에 비해 26개소가 늘어난다. 농협중앙회는 농촌인력중개센터의 양적 확대와 더불어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해 운영활성화 평가로 우수 센터의 인센티브를 확대하면서, 사업 부진 센터의 현지 점검과 컨설팅을 지원키로 했다. 특히 농촌인력중개센터의 공익적 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인력 구인이 어려운 취약계층을 우선 중개 지원하는 한편 은퇴자나 주부 등 도시의 유휴인력을 모집해 농촌 일자리 제공에 나설 계획이다.
농번기와 수확기 등 영농인력 수요 집중 시기에 작업반 단위로 상주하며 주요 품목 주산지의 영농지원을 실시하는 체류형 영농작업반 공급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품목별전국협의회와 연계해 주요 품목의 체류형 영농작업반 인력 수요를 발굴해 공급을 확대하는 한편 인건비가 급등하거나 인력이 부족한 위험지역엔 적시에 대응해 작업반 인력을 공급할 예정이다. 또한 농가의 선호도를 반영해 맞춤형 영농작업단도 구성해 인력을 공급한다.
외국인 근로자 도입인원이 지난해에 비해 약 5400명이 늘어난 1만8300명이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근로자 운용 방법 및 사후관리 등 사업전반의 지도를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농업고용인력지원전문기관 사업과 연계해 외국인 근로자의 교육을 강화하고, 인권보호 상담을 적극 지원한다.
이광일 농협중앙회 농촌지원부장은 “농촌 인력공급은 앞으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수급대응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올해 이 같은 시스템을 갖춰 인력이 부족한 곳엔 적시에 인력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며 “농업인들이 영농활동에 있어 인력이 부족해 농사를 짓기 힘들지 않도록 영농인력 공급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