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광역시 노은농산물도매시장이 개설자와 시장 종사자들간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져 자칫 노은시장이 더욱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되고 있다.
노은시장 관리사업소는 지난 11일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노은농산물 공영도매시장 중장기 발전계획’을 두고 논의를 하겠다며 회의를 개최했다. 노은시장의 미래가 설계된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종사자들의 의견수렴 이 단 한차례도 없었다는 질타에 부담을 느낀 관리사업소가 뒤늦게 의견을 듣겠다며 자리를 마련한 것.
그러나 회의는 시작에 앞서 안건 논의 방식을 두고 고성만 오갔다. 관리사업소는 회의시간을 2시간 내로 하고 중장기 발전계획에 담긴 안건을 일괄 논의하고 추가적인 의견은 서면으로 받겠다는 주장을 냈다. 반면 시장 종자자들은 상정된 안건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는 내용들이 상당한 만큼 시간에 구애받지 말고 안건별로 논의하자고 맞섰다.
결국 양측은 일체의 양보없이 서로의 주장만 무한 반복하다 안건 논의는 시작도 못해보고 파행됐다.
이날 시장 종사자들은 “상정된 안건을 일부만 따져보더라도 중장기 발전계획에 ‘공영도매시장 노은시장을 소비지형으로 변화’, ‘중도매인 주도로 수입된 농산물의 소분·소포장·신선편이 가공을 통한 소비자 맞춤형 상품화 중점시장’ 등 현실과 동떨어진 일방적인 주장이 담겨 있어 반드시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공영도매시장을 대전시 맘대로 소비지형 시장으로 돌릴 수 있는 것이냐”고 거세게 반발했다.
특히 시장 종사자들은 “대전시를 제외한 전국 31개 공영도매시장들은 지난 6월 ‘농림축산식품부의 중장기발전계획 마련 공문’을 접수한 이후 곧장 도매시장법인에 11월까지 의견을 달라고 전달했다”면서 “반면 대전시는 농식품부 공문을 접수하고 6개월이 지난 11월에 들어서 급작스럽게 중장기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느닷업이 11월 27일 시장관리운영위원회를 개최해 일방적으로 동의를 강요하는 참사를 불렀다”고 꼬집었다.
시장 종사자들은 “노은시장이 갈수록 위축되고 있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관리사업소와 머리를 맞대고 심도있는 논의와 협의를 통해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것인데 관리사업소는 지난 2000년 개장 이래 줄곧 자가당착(自家撞着)에 일관해 왔다”면서 “이번 중장기발전계획은 시장종사자들의 다양한 의견이 반영되는 것은 물론이고 노은시장의 백년대계를 이끌 수 있도록 개설자를 상대로 과감한 투쟁을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노은시장 종사자들은 농촌지도자회, 후계농업경영인회 등 농업인단체와 함께 이달 중으로 제3차 노은시장 정상화를 위한 생존권 투쟁에 나설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