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개 단체 함께 중도매인 생존권 사수 2차 궐기대회
농축유통신문 이동원 기자 2023. 12. 7
대전중앙청과와 중도매인이 생존권 사수 및 생산자·소비자 권익보호를 위한 2차 궐기대회를 가졌다.
대전중앙청과 등 11개 단체는 지난 5일 대전광역시청 북문 앞 광장에서 2차 결의대회를 열고 “단 한 번의 대화도 없이 지역 언론을 통해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했다고 거짓말을 한 대전광역시를 규탄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대전중앙청과 등 단체는 지난달 13일 1차 궐기대회 때 대전시에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승인받은 업무규정으로 도매시장법인을 지정 및 경매장 증축 및 중도매인 점포 시설개선사업 예산을 반납한 경제과학 국장 사퇴, 부당하게 징수한 하역비를 출하자에게 돌려줄 것과 축산관련 점포 10개 이상 증축 등을 요구했었다.
송성철 대전중앙청과 회장은 “대전시가 요구 사항을 대부분 반영했다고 말하는데 도대체 무엇을 해주었다는 것인지 도무지 알수가 없다”며 “특히 시는 단체 관계자들 중 어느 누구와도 대화를 하거나 상의 한번 없이 일방적으로 다음날 지역 언론을 통해 요구사항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하며, 더 이상 반영해 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고 언성을 높였다.
이어서 그는 “대전시는 앞서 1차 궐기대회 이후 시장관리운영위원회를 개최해서 요구사항을 덮으려고 시도했다”며 “이는 1차 궐기대회 때 요청했던 사항을 묵살하려는 의도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송 회장은 “직원들이 모두 퇴근한 시간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등 도매시장 관련 회의 개최 요청’을 했고 회의 날짜도 급박하게 잡혔다”며 “내용도 모르고 시간도 촉박해 날짜 연기를 요청했으나 의견이 있는 경우 단 하루 만에 통보하라는 대전시의 일방적 행보에 화가 난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2024~28년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과 용역체결, 축산 관련 상가 입점, 시설개선사업, 현대화 사업은 이미 수십 년째 해결되지 않고 있었던 사안들”이라며 “이를 단 하루만에 의견을 전달해 달라는 것은 말도 안되는 소리”고 강조했다.
최병선 한유련 회장은 “지난 1차 궐기대회에서 진심으로 대전시의 잘못된 행정이 고쳐질 것을 호소했으며 농산물 유통을 바로잡기 위한 간절한 마음을 담아 외쳤다”며 “하지만 대전시는 생산자, 소비자, 중도매인 그 누구와도 단 헌 번의 대화도 하지 않고 더 이상 해줄 것이 없다는 입장에 분통이 터진다”고 강조했다.
최흥수 한국농업유통법인 대전연합회 회장은 “경매장이 경매장으로서의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고 농산물 하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몇 시간의 기다림에 지친 운송기사들은 차를 돌려 인근의 다른 도매시장으로 가고 있다”며 “노은농수산도매시장은 출하자가 외면하는 시장이 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꼬집었다.
이에 단체들은 이날 대전시를 향해 다시한번 강력하게 요구사항을 밝혔다. 주요 내용은 △경매장 증축 중도매인점포 시설개선사업 즉각 시행 △대전광역시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승인받은 업무규정으로 도매시장법인 지정 △노은농수산물도매시장에 축산관련 점포 10개 이상 증축 △용역 체결로 하역비 법인이 부담 등이며 그밖에 노은도매시장을 청결하고 쾌적한 도매시장으로 만들어 줄 것과 대전중앙청과에 대한 부당한 보복행정과 표적감사 중단 등을 함께 요구했다.
한편 이날 궐기대회에서는 송성철 대전중앙청과 회장 등 지도부들이 삭발식을 거행하며 굳은 결의를 다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