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게시판 > 농산물뉴스 |
|
|
|
|
 |
 |
* 강원 원주의 한 농가가 우박으로 망가진 고추밭을 다시 일으켜 세우고 있다. 지난 주말 사이 갑작스럽게 내린 우박으로 인해 강원특별자치도는 415.73ha의 농작물이 쑥대밭이 되는 피해를 입었다. 이우정 기자
냉해 이어 호우·강풍·우박까지 잇단 기상 이변에 속수무책
농작물 생산량·품질 떨어지고 노동시간·생산비용은 증가
신속한 정부 지원 급선무 재해비상대책 수립 서둘러야
한국농어민신문 김선아, 이우정, 구자룡 기자 2023. 6. 16
잦아진 기상 재해가 농민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수준으로 치닫고 있다. 기상조건 악화로 농작물의 생산량과 품질은 떨어지는데, 투입해야 하는 노동시간과 생산비용은 계속 늘어나고 있는 탓이다. 통제 불가능한 이상기후가 농업경영에 심각한 위협이 되면서 이중 삼중의 고통을 겪고 있는 농민들은 사면초가에 놓인 형국이다.
냉해 이어 호우·강풍에 우박피해까지
지난 봄 때 이른 고온 이후 갑작스럽게 덮친 이상저온 현상은 대규모 냉해 피해로 이어졌고, 5월엔 연휴 때마다 국지성 호우가, 지난 10~11일엔 전국 곳곳에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우박이 쏟아져 농작물 피해가 속출했다.
강원도에서는 이번 우박으로 18개 시·군 가운데 12개 시·군 415.73ha가 쑥대밭이 됐다. 13일 만난 원주시 호저면 무장1리 윤경수(46·남) 이장은 “이 마을에 농사를 짓고 있는 가구가 대략 60가구인데, 이 중 50여 가구가 우박 피해를 입었다”며 “마을에서 한평생 사신 어르신들도 처음 보는 광경으로, 500원짜리 동전 크기 우박들이 비바람과 같이 쏟아져 축사 지붕이 찢어지고 앞이 잘 보이지 않을 정도였다”고 전했다.
윤 이장은 “이대로 농사를 포기할 수는 없으니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원주에 있는 종묘사란 종묘사에는 다 전화해서 고추 모종을 사다 망가진 농작물을 걷어내고 밤늦게까지 다시 파종을 했다”며 “그래서 그런 건지 100원까지 떨어졌던 고추 모종이 400원까지 올라갔다. 농민들 속이 얼마나 타들어 가겠냐”며 안타까워했다.
생산비 곱절로 드는데 수확량은 급락
화천에서 6600㎡(2000평) 규모로 복숭아 농사를 짓고 있는 조우섭(55·남) 씨도 올 봄 냉해 피해에 이어 우박 피해까지 겹치자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그는 “우박을 맞아 상처 난 과일이 방치되어 썩으면 탄저병, 잿빛무늬병 등이 돌아 2차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지만 인건비 부담이 너무 커서 씌워 놓은 봉지를 일일이 벗겨 확인해 볼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7월은 돼야 정확한 피해 규모가 나올 것 같은데, 냉해 피해에 이어 우박 피해까지 입으니 이제 농사를 그만둬야 하는 건가, 생각이 많다”고 토로했다.
막바지 수확기에 폭우피해를 입은 경남 창녕의 마늘농가들은 건조과정에서 상품성을 잃은 마늘이 속출해 허탈해 하고 있는 상황. 창녕에서 마늘 농사를 짓고 있는 김창수 전국마늘생산자협회 회장은 “폭우로 땅이 질어 기계를 쓸 수 없으니 수작업으로 수확작업을 하면서 인건비가 곱절로 들어갔다”며 “시간 싸움에 급증한 인건비를 무릅쓰고 전쟁 치르듯 수확에 매달렸는데 막상 건조과정에서 보니 마늘 품질이 급락해 상품 비율이 40%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탄식했다. 그는 “인건비와 자재비 등 생산비가 급증한 상황에서 농가가 체감하는 재해 피해는 더욱 클 수밖에 없다”며 “현실에 맞는 실질적인 지원대책이 절실하다”고 호소했다. (“수확기 폭우피해…창녕마늘 상품비율 반으로 뚝” 기사 참조)
신속한 지원, 재해비상대책 수립 촉구
정치권도 목소리를 냈다. 더불어민주당 전국농어민위원회는 14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현장 농민들이 자신의 힘으로 어쩔 수 없는 기후 재해에 망연자실하고 있는데 농식품부는 대책 마련을 차일피일 미루고 있다”며 정부의 신속한 지원대책을 촉구했다. 농어민위원회는 “냉해, 우박 피해에 대한 신속한 지원대책 집행과 함께 피해구제 절차 간소화, 재해대상 품목 및 보상 범위 확대, 보상률 및 복구비 지원단가 상향 등 현장에서 절실한 재해대책의 단기 개선은 당장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장기적으로는 이상기후에 대응하는 재해비상대책을 수립하고 보험사각지대에 있는 생산자에 대한 근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