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50억 원 이상 투자 사업 및 중소기업 물품 구매·보조금 등 경기 부양 효과가 큰 예산 24조 원을 상반기 중 집행한다.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춰 취약 계층에 대한 교통비·주거비 지원을 확대한다.
시는 이러한 내용을 내용을 담은 ''''민생경제 활력회복 대책''''을 가동한다고 19일 밝혔다. 상반기 예산 조기 집행을 통해 경기 회복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시민들의 대중교통 요금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최근 지하철·시내버스 기본 요금 인상 시기를 4월에서 하반기로 연기한 데 이어 장거리 지하철 이용자를 위한 ''''거리비례용 정기권'''' 할인율을 현행 15%에서 20%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하반기부터 장애인에게 버스 요금을 전액 지원할 예정이다. 아동 양육 시설·공동 생활 가정 등에서 지내다가 만 18세가 돼 독립하는 자립 준비 청년을 대상으로 교통비 지원을 시작하기 위해 정부와 협의 중이다.
청년층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줄 수 있도록 청년 전·월세 반환 보증 보험료 지원 기준을 완화하고 대상을 500명에서 1000명으로 늘린다. 청년 부동산 중개 보수·이사비 지원은 소득 기준을 기존 중위소득 120% 이하에서 150% 이하로, 거주 기준은 보증금 5000만 원 이내 및 월세 40만 원에서 전월세 환산 거래금액 2억 원 이하로 각각 완화한다.
청년 학자금 대출 이자 지원 대상은 1만 5000명에서 3만 명으로 늘리고, 시가 저축액의 100%를 추가로 적립해주는 ''''희망 두배 청년 통장'''' 대상은 7000명에서 1만 명까지 확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