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세종시에 위치한 NH농협생명 세종교육원 대강당에서 ‘2023년도 쌀 적정생산대책 업무협약 체결·성공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사진은 결의대회에 참석한 김정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사진 가운데)과 농축산관련 단체장들이 쌀 적정생산을 통해 만성적인 쌀 공급과잉을 해결하고 쌀산업의 새로운 도약의 계기를 만들 것을 다짐하고 있는 모습.
농식품부, 지자체, 농축산단체
농수축산신문 박유신 기자 2023. 2. 14
정부와 지자체, 농축산관련 단체가 올해 쌀 적정생산을 위해 농지 3만7000ha 감축에 공동으로 나선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3일 세종시 소재 NH농협생명 세종교육원 대강당에서 ‘2023년도 쌀 적정생산대책’ 업무협약 체결·성공 결의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업무협약에는 농식품부와 농촌진흥청·농협경제지주·쌀전업농중앙연합회·들녘경영체중앙연합회·쌀생산자협회·국산콩생산자협회·전국한우협회·한국낙농육우협회·한국조사료협회 등 관계 기관·단체가 참여, 올해 쌀 적정생산을 위해 상호협력하기로 결의했다.
농식품부는 앞서 지난달 9일 쌀 소비량 추정치를 고려해 올해 적정 벼 재배면적을 69만ha로 예측하고 지난해 72만7000ha 대비 3만7000ha를 줄인다는 목표하에 쌀 적정생산대책을 수립한 바 있다.
신규 도입된 전략작물직불제를 활용해 1만6000ha를, 지자체 자체예산과 벼 재배면적 감축협약으로 1만ha를, 농지은행 신규 비축농지에 타작물 재배로 2000ha를 줄이고 농지전용 등 9000ha를 합해 목표 감축면적 3만7000ha를 달성한다는 게 농식품부의 계획이다.
이에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농식품부는 쌀 적정생산대책 추진과 함께 관련기관·단체 간 협력에 필요한 사항을 총괄 지원하고 농진청은 타작물 재배기술 지원과 홍보, 고품질 품종 개발·보급 등을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농협경제지주는 콩·조사료 등 타작물의 계약재배, 판로확보, 수급안정을 위해 노력하고 나머지 생산자 관련 단체들은 회원 농가의 책임감 있는 참여를 위해 자체 벼 재배면적 감축목표를 설정해 독려하기로 했다.
전국한우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한국조사료협회 등 축산관련 단체 역시 하계 조사료 7000ha 재배 달성을 목표로 국내산 하계 조사료 소비촉진을 통한 판로·종자 확보·공급 등 경축순환농업의 조기정착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이날 업무협약 후 결의대회를 갖고 △선제적으로 벼 재배면적을 줄여 쌀값 안정 달성 △논 활용체계를 다양화해 농가소득 제고와 식량자급률 향상 도모 △쌀 산업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전환 등 쌀 적정생산 대책의 성공적인 추진을 다짐하기도 했다.
김정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쌀 적정생산대책의 추진성과가 올해 수확기 쌀 수급안정으로 직결되는 만큼 쌀생산자단체, 축산단체 등 유관기관과 단체가 성공적 추진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자”며 “정부는 원활한 대책 추진을 위해 종자공급, 기술지원, 판로확보 등 농가지원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이번 벼 재배면적 감축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쌀값 5.2% 상승은 물론 4400억 원의 격리 비용 절감과 식량자급률 상승, 쌀값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 해소 등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