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화재 피해를 본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매천시장)을 이전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노후화한 시설과 좁은 면적 등으로 이전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이해관계자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대구경북연구원은 최근 ‘대구농수산물도매시장 활성화 방안 비교분석’ 보고서를 통해 “현 부지에선 효율적인 물류기반 조성에 한계가 있다”며 “현재의 개선이 아닌 미래를 향한 선택이 필요하다”고 확장 재건축보다는 이전 신축이 타당하다는 의견을 밝혔다.
보고서는 이전 신축의 필요성으로 ▲시설이 낡아 화재 등 재난위험성이 높고 ▲디지털 유통이나 전자상거래·수출입기지 등 경쟁력 있는 시설을 위한 부지 확보가 어려우며 ▲재건축 시 사업 기간이 길고 시장 운영 제약 등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는 점 등을 들었다.
1988년 개장한 매천시장은 대구지역 유일한 농수산물도매시장이다. 연간 거래금액이 약 1조원에 달해 전국에선 세번째, 영남권에선 최대 규모다.
하지만 2000년대 들어 좁은 공간과 안전성 등 각종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돼왔다. 이에 2005년 시설현대화 용역이 시행됐고 시장을 이전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지만 부지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다.
2018년 기존 터에서 확장 재건축하는 대안이 제시됐지만 이해관계자 찬반 의견이 팽팽해 실행되지 못했다. 그러다 홍준표 대구시장의 공약을 계기로 이전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했다는 게 시장 관계자의 설명이다.
대구경북연구원 관계자는 “대구시장의 공약이고 최근 매천시장의 화재 피해를 복구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여겨 보고서를 작성했다”고 설명했다.
시장 관계자는 이전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이해관계자 합의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한 도매시장법인 관계자는 “현재 영업력에서 우위를 보이는 도매시장법인은 이전하면 입지 등 여러 측면에 변화가 생겨 반대할 가능성이 크다”며 “특히 인근에 도소매·냉동 업체 등이 많은데 시장을 이전할 경우 생계유지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어 반대가 클 것”이라고 말했다.
한 중도매인은 “중도매인 입장에선 모두가 동등하게 옮겨 간다면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다만 부지 선정과 이해관계자 합의 등 절차가 복잡해 이른 시일 내에 결정할 사항은 아니라는 게 중도매인들의 중론”이라고 밝혔다.
한편 대구시가 한국원가공학회 계약관리연구원에 매천시장 이전 사업비 분석을 의뢰한 결과 북구 팔달지구가 5419억원, 달성군 대평지구(하빈면)가 3699억원, 달성군 구라지구(화원읍)가 5130억원으로 추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