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이 27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주재한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참석해 스마트농업 육성을 통한 경제 활성화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KTV 캡처
김인중 차관, 비상경제민생회의서 발표
청년 대상 임대형 스마트팜 15곳 조성
농민신문 홍경진 기자 2022. 10. 28
김인중 농림축산식품부 차관은 27일 “2027년까지 스마트팜 청년창업농 3000명과 스마트농업 유니콘 기업 5개를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김 차관은 이날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주재한 제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에 참석해 농업분야의 경제 활성화 추진 전략을 이같이 소개했다.
TV 생방송으로 중계된 이날 회의는 글로벌 복합위기에 대응해 국가 경제의 새로운 기회 요인을 찾기 위해 각 분야의 경쟁력 제고와 수출 증진 방안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열렸다. 윤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어떻게 하면 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느냐 하는 경제 활성화 추진 전략과 그 점검을 하고, 우리 모두 함께 논의하는 회의로 진행하겠다”며 “정부가 어떤 정책을 가지고 있는지, 또 계획을 수립해서 (어떻게) 실천할지 궁금해하는 분들이 많이 있어서 비공개로 해오던 회의를 오늘은 언론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김 차관에 따르면 농식품부는 윤석열정부 임기 동안 청년창업농 3000명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연 208명) ▲2040세대 스텝업교육(100명) ▲첨단기술 공동실습장(100명) ▲첨단품목 특화전문교육(20명) ▲스마트팜 현장실습교육(60명) 등 연 500명의 청년농을 대상으로 교육 과정을 운영한다.
창업농이 3년 동안 임차할 수 있는 스마트팜은 20207년까지 15곳(64㏊)을 조성한다. 창업농들은 이를 통해 1653㎡(약 500평) 규모의 스마트팜을 연 100만원 수준에 임차할 수 있다. 지원 규모는 2023년 96명, 2024년 120명, 2025년 128명, 2026년 136명, 2027년 136명으로 계획했다.
청년농이 스마트팜 창업을 할 경우엔 시설·운영 자금으로 최대 30억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청년농의 농지구입·영농정착 등을 위한 자금도 최대 3억원까지 지원한다.
김 차관은 “스마트팜 교육·창업에 관심 있는 청년은 전북 김제, 전남 고흥, 경북 상주, 경남 밀양 등 전국 4곳에 조성된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창업보육센터에 연락하면 관련 정보를 상세히 안내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팜 핵심기술 상용화를 위한 투자도 확대한다. 이를 위해 2027년까지 4000억원을 투입한다. 스마트팜 8대 핵심기술은 ▲인공지능(AI) 예측 ▲AI온실 관리 ▲온실용 로봇 ▲축산 사물인터넷(IoT) ▲AI축사 관리 ▲가변관수·관비기술(VRT) ▲자율주행 ▲노지수확로봇 등이다. 농식품부는 관련 유망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농업 대상 모태펀드 지원 확대와 벤처창업 사업화 자금 지원을 추진한다.
내수시장과 해외시장을 동시 공략하는 전략으로 스마트 기술·장비 실증 지원 프로그램을 현재 23곳에서 2023년 46개로 확대한다. 신규 기술을 적용하는 스마트농업 시범단지는 2025년까지 3곳을 조성하고, 품목별 스마트 장비 보급을 지원할 계획이다.
호주·베트남 등 수출 유망국엔 전시용 시범온실을 조성하고 공적개발원조(ODA) 사업과 연계해 시장 개척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날 회의는 최상목 경제수석 사회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경제 활성화 추진 전략을 보고하고, 이어 ▲주력 산업 수출 전략 ▲해외건설·인프라 수주 확대 ▲중소·벤처 기업 지원 ▲관광·콘텐츠 산업 활성화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발전방안 등에 대한 관계부처 장·차관 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