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하순 이후 배추 가격이 빠르게 내리고 있다. 정부는 배추 수급이 충분히 안정될 때까지 이달에도 시장 공급을 지속하기로 했다. 주요 김장채소에 대한 수급안정대책은 이달 하순에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5일 배추 도·소매 가격 동향을 설명하고 김장채소 수급안정대책 발표 일정을 내놨다.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에 따르면 배추 도매가격은 9월 중순 현재 상품 한포기당 9000원 수준에서 이달 1일 현재 5543원으로 내렸다. 소비자가격 역시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산물유통정보 기준 9월 중순 포기당 1만원 수준에서 9월30일 8155원으로 하락했다.
다만 이달 2일 이후 전국적으로 비가 내리면서 수확작업이 어려워짐에 따라 일시적으로 도매가격이 올랐다. 5일 가락시장에선 5일 배추 한포기당 평균 6614원에 거래됐다.
배추 가격이 하락세로 전환한 것은 산지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작황이 좋지 않았던 해발 600m 이상의 강원지역 고랭지배추 수확이 마무리되고 그보다 낮은 지역인 준고랭지 배추가 수확되면서 출하 물량이 증가했다.
준고랭지 배추는 품위도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준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은 지난해와 견줘 8%, 평년보다 10.4% 증가했다.
농식품부는 9월 배추 수급안정을 위해 비축물량과 농협 계약재배 물량 등 5000t 이상을 시장에 풀었다. 10월에도 배추 공급량을 지속적으로 늘려나가기로 했다.
특히 정부가 사전에 수매하기로 계약한 밭 100㏊에서 수확한 배추를 시장에 계속해서 공급한다. 배추 수급이 충분히 안정됐다고 판단하면 공급을 중단하고 나머지 물량은 비축해 이후 상황에 대비한다.
김장철 채소 수급과 관련해선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크게 증가하는 만큼 소비자들이 배추 구입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농경연에 따르면 가을배추 생산량은 129만t으로 지난해보다 12% 늘어날 전망이다. 가을배추는 이달 중순 수확에 들어가 김장철인 11월부터 본격적으로 공급된다.
농식품부는 주요 김장재료인 배추·무·고춧가루·마늘 등에 대한 수급안정대책을 이달 하순에 발표한다. 재료별 수급 전망을 토대로 부족 물량에 대해선 공급 확대 방안과 소비자 부감 경감 방안을 제시한다.
김종구 농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은 “배추 공급량은 앞으로 점차 확대돼 김장철에는 충분한 물량이 공급될 것으로 본다”면서 “소비자들의 김장철 장바구니 부담이 증가하지 않도록 부담 완화 대책을 적극적으로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