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한국농정신문] 원예자조금, 생산·유통 자율조절에 무게 싣는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2-06-27 조회 1458
첨부파일


      농식품부-농협, 연말까지 품목별 자조금단체 역할·기능 정립

      16개 의무자조금 4개 분과로 나눠 … 월 1회 정기토론 진행


                                                                 한국농정신문  권순창 기자  2022. 6. 26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정황근)와 농협경제지주(농업경제대표 우성태)가 의무자조금을 통한 ‘생산자 자율 농산물 수급조절’을 도모한다.

의무자조금의 생산·유통 자율조절은 농식품부가 2019년부터 본격 구상하고 추진해온 정책이다. 다만 지금까지 의무자조금 품목 수를 확대하는 데 정책 역량이 일부 분산됐다면, 이제부턴 집중적으로 수급조절 시스템 구축에 나서겠다는 분위기다. 올해부터 새로 원예자조금 통합지원센터 역할을 맡은 농협경제지주와 수급정책 개선을 시도하는 새 정부 농정당국의 지향점이 맞아떨어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1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농산자조금 활성화방안 토론회’는 4개 분과로 이뤄진 분과별 토론회였다. 현재 운용 중인 16개 원예의무자조금을 품목 특성에 따라 △수급안정 △내수확장(2개 분과) △수출확대 등 4개 분과에 나눠 편성했으며, 분과마다 전문가·농식품부·지자체·농협·유통업자·생산자 등 14명의 위원을 배치했다.

이 토론은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고 매달 이어 나갈 예정이다. 각 품목 자조금의 성장·운용 실태를 진단하면서 올 연말까지 품목 실정에 맞는 생산·유통 자율조절 방안을 확정하는 게 목표다.

의무자조금을 통한 생산자 주도의 수급조절은 농산물 수급정책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대안으로 주목받지만, 한편으론 생산자에 대한 정부의 수급책임 전가 수단이 되리라는 우려가 병존한다. 생산자 개개인의 의식을 담보한 주체적 성격의 의무자조금 조직 구성과, 그 의무자조금의 의사를 최대한 존중하는 회의 체계 구축이 정책 성공의 열쇠라 할 수 있다. 합리적인 결과물을 기대하기엔 남은 6개월이 다소 부족해 보이지만, 농식품부와 농협경제지주는 일단 의욕적으로 발을 내딛고 있다.

  [농민신문] “하역비 20% 인상하라”…가락시장 노조 총파업 예고
  [한국농어민신문] 도매법인 지정조건 이행 여부 심사·평가위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