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농수축산신문] 양파생산자협 “정확 통계 바탕으로 채소가격안정제·공공비축제 확대해야”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2-05-04 조회 1445
첨부파일


     양파생산자협 “정확 통계 바탕으로 채소가격안정제·공공비축제 확대해야”


                                                                          농수축산신문  이문예 기자  2022. 5. 3


      (사)전국양파생산자협회가 정부에 정확한 통계 집계 시스템 마련과 채소가격안정제·공공비축제 확대 실시 등 양파 수급정책 대전환을 강력하게 요구했다.

지난달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양파 재배면적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재배면적 감소로 내년 상반기까지 양파 부족 현상이 예상 가능함에도, 현장에선 적정 가격이 유지되지 못해 조중생종 밭떼기 거래가 이뤄지는 등 농업인들의 피해가 잇따르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에 전국양파생산자협회는 △실측조사 확대 실시와 과학적 접근 방식을 통한 정확한 생산·소비 통계 시스템 구축 △계약재배 확대 등 공공비축제 확대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정부는 통계청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표본조사 형태로 진행하는 양파 재배면적 조사를 기준으로 면적 조절을 통한 수급조절을 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농경연과 양파의무자조금관리위원회, 생산자협회가 진행하는 재배면적 실측조사를 보다 확대해 정확한 면적조사, 작황조사를 바탕으로 재배면적뿐만 아니라 생산량에 대한 정확한 통계 집계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소비 통계에 대해서도 고도화되고 과학적인 접근으로 정확한 통계를 갖고 수급정책을 세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채소가격안정제와 공공비축제 등을 확대해 가격 폭등 시 현재처럼 수입 물량으로 대응할 것이 아니라 비축 물량을 통해 수급조절을 해 농업인 피해를 최소화하며 물가 안정을 꾀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채소가격안정제는 마늘·양파·무·배추·고추·대파·감자 등 가격변동이 큰 농산물에 대한 사전적 면적 조절, 출하중지, 출하조절 등 수급 조절 사업이지만 참여 수급물량이 전체 생산량의 10%대에 불과하고 일부 품목의 농가 참여율은 1%에도 미치지 못하는 등의 이유로 해당 채소의 가격 등락은 여전한 상황이다.

한농연은 정부가 전체 생산량의 30% 이상은 채소가격안정제 사업, 10%는 공공비축 물량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농수축산신문] CPTPP 가입 전 대내협상 SPS 대응 선행돼야
  [연합뉴스] 4월 소비자물가 4.8% 상승…금융위기 이후 13년 반 만에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