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농민신문] [농협 유통혁신 어디까지 왔나] 식품사업 강화...국산 농산물 부가가치 창출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1-08-20 조회 1461
첨부파일 20210819133945021.jpg


            [농협 유통혁신 어디까지 왔나] 협동조합 정체성 회복


                                                     농민신문  하지혜 기자  2021. 8. 20


 농협은 농축산물 판매 확대로 협동조합 정체성을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국산 농산물 소비를 늘릴 수 있는 다양한 식품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특히 식품 연구개발(R&D) 역량을 확충해 대기업과 차별화된 상품 기획·마케팅을 실시하고, 범농협 대표 10대 가공식품을 육성해 온라인·로컬 시장을 공략하겠다는 복안이다.

하나로마트 맞춤형 모델과 인공지능(AI) 기반의 무인매장 도입 등을 통해 하나로마트를 농식품 전문 매장으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도시농협이 판매농협이라는 본연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추진 현황은

식품 개발 전문 플랫폼 선봬 하반기 공유주방 점포 개장

지역 맞춤 하나로마트 육성 도심 로컬푸드직매장 늘려


◆식품사업 강화로 농산물 소비 활성화=농협은 식품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첫걸음으로 식품 R&D 전문 플랫폼인 ‘프랜즈(www.fonds.com)’를 최근 론칭했다. 프랜즈는 R&D 역량이 미흡한 지역농협·중소식품기업과 식품 R&D 전문가를 연결해주는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 플랫폼이다.

농협은 프랜즈 활성화를 위해 식품기술사 923명이 소속된 한국식품기술사협회와 식품 R&D·기술 분야 업무협약(MOU)도 했다. 이같은 기반을 바탕으로 국산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식품 개발에 매진한다는 복안이다.

국산 농축산물 소비확대를 위해 공유주방 플랫폼사업도 적극 추진 중이다. 농협 공유주방 플랫폼사업은 외식업체에 주방 공간·집기를 빌려주고 농협 식자재를 공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올 하반기 공유주방 시범점포 개장을 앞두고 있으며, 공유주방을 기반으로 밀키트(Meal Kit·반조리식품) 사업 진출도 모색하기로 했다.
범농협을 대표하는 10대 가공식품으로는 두부(1호)에 이어 김치와 가정간편식(HMR)을 2·3호 식품으로 선정해 상품 개발이 한창이다. 올 9월이면 김치와 HMR 상품이 출시될 예정이다.


◆농식품 전문 소매매장 육성=농협은 온라인 유통의 확산으로 오프라인 매장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상황에 대응하고자 하나로마트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특히 지역·규모·고객별 특색에 맞는 하나로마트 맞춤형 모델로 차별화된 점포를 구현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농촌편의형·도시복합형 매장 등이 대표적인 사례다.
올 6월말 기준 신청농협 60곳을 대상으로 맞춤형 모델을 순차 적용해 13곳의 출점을 완료했다. 하나로마트 맞춤형 모델을 적용한 결과 올해 매출액과 이용객수가 지난해보다 80%가량 늘어나는 성과를 거뒀다.

올초 농협하나로유통 하나로마트 서울 신촌점에 설치돼 반향을 일으키고 있는 ‘농협 AI 스토어’도 점포 확대를 추진 중이다. 신촌점 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기술을 보완해 내년 중에 농협 AI 스토어 독립점포를 설치할 예정이다.


◆도시농협 경제사업 정체성 확립=유통혁신 과제에는 도시농협과 농촌농협의 공동투자를 추진해 산지농협을 지원하는 방안이 포함돼 있다. 이를 위해 도농 공동 시범사업 발굴과 도시·농촌 농협간 매칭작업이 한창이다.
올 상반기 도농상생 공동사업 수요조사를 통해 산지유통시설·농식품가공공장 등 12개의 사업모델을 도출했으며, 11개 농협이 공동사업을 신청했다.
하반기에는 공동사업 참여농협간 MOU를 체결하는 등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농촌농협의 신선한 농산물을 도시농협에서 판매하는 도농상생형 로컬푸드직매장을 확대하려는 움직임도 활발하다. 농협별로 최대 1억5000만원의 매장 신설 예산 등을 지원하면서 지난해 6곳이었던 도농상생형 로컬푸드직매장이 올 6월말 14곳으로 늘었다.

  [농민신문] [사설] 대선 후보들 제대로 된 농업정책 마련·제시를
  [농민신문] [농협 유통혁신 어디까지 왔나] 도매유통 조직 통합...농산물 판매액 9.5% 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