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기준 반영 안된 ‘특·상·보통·하’ 폐지,
‘고가평균, 중가평균, 저가평균’체계 개편
품목 거래방법별 반입량·가격정보 제공도
전업농신문 장용문 기자 2021. 7. 30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가 가락시장 개장 이래 36년 동안 제공해왔던 농산물 가격정보를 대대적으로 개편한다.
최근 공사에 따르면,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되고 있는 가격정보는 기본적으로 당일 가격 서열에 따라 물량 가중치를 적용해 ‘특, 상, 보통, 하’로 산출하고 있다. 품목별로 물량 가중치는 상이하나 일반적으로 가격 상위 5%의 평균가격이 ‘특’, 35%가 ‘상’, 40%가 ‘보통’, 20%가 ‘하’로 산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물량 가중치로 등급별 가격을 산출한 배경에는 생산자의 등급표기가 주관적이고, 축산물과 같이 공인된 등급 판정 제도가 없어 최종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궁여지책으로 등급 아닌 등급 가격을 생성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공사 측의 설명이다.
이같은 등급별 가격정보는 품질 기준이 반영되지 않았음에도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정한 품질등급이 가격에 반영된 것으로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같은 품질 등급의 농산물이더라도 시차를 둬 가락시장에 출하할 경우 반입물량에 따라 등급이 달라지는 모순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가락시장 가격정보가 정확한 유통정보를 담아내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어 왔다.
공사는 이에 따라 해외사례 조사, 전문기관 연구용역 및 유통정보 이용자 설문조사 결과 등을 반영해 향후에는 유통정보 이용자들의 가격정보에 대한 오해가 없도록 기존의 ‘특, 상, 보통, 하’ 체계를 ‘고가 평균, 중가 평균, 저가 평균’ 체계로 전환해 제공할 계획이다.
앞으로 전환되는 가격군별 물량 가중치는 전문기관 연구용역 결과를 참고해 고가 평균은 상위 20%, 중가 평균은 중위 60%, 저가 평균은 하위 20%를 반영할 예정이다. 또 출하자의 거래방법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품목별로 거래방법별 반입량 및 가격정보를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공사 김승로 유통조성팀장은 “이번 유통정보 체계 개편으로, 그간 경매 외에 다양한 거래방법이 도입됐음에도 거래방법별 물량과 가격이 다양하게 제공되지 못했던 문제점을 개선해 유통정보 이용자들의 거래방법별 거래 비중 파악과 품목별 가격분포 등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유통정보 이용의 편리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올해 내 시범 운영 후 전산프로그램 보완 등 본격적인 개편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