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연합회소개
인사말
연합회소개
역대회장/연혁
임원현황
조직도
지역연합회
주요사업
찾아오시는 길
산지유통인
산지유통인
포전거래
주요취급품목
정부지원사업
농산물정보
친환경농산물
농산물우수관리 인증
농산물이력추적
원산지관리
표준규격화
좋은 농산물 고르는 방법
게시판
공지사항
주요일정
연합회활동사진
지역연합회
농산물뉴스
자유게시판
자주하는질문
질문과답변
회원메뉴
회원가입
고급정보
사이트맵
> 게시판 > 농산물뉴스
[농민신문] 중국산 양배추, 물량 공세 가속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0-11-06
조회
1350
첨부파일
20201105142558446.jpg
국내 수급 불안 틈타 급증 ‘저가’ 미끼로 생산 기반 위협
농민신문 박현진 기자 2020. 11. 6
중국산 양배추가 대거 수입돼 국내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다.
올 1월부터 10월까지 수입된 양배추는 3만1602t으로 잠정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수입량(1만2115t)의 2.6배이며, 평년의 연간 수입량(6421t)과 비교하면 5배에 육박한다.
10월 한달만 해도 5031t이 수입돼 지난해 같은 달 대비 7배 이상 많다.
양배추 수입량이 급증한 것은 올해 국산 양배추의 수급 불안이 주요인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한은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엽근채소관측팀장은 “잦은 비와 태풍 등 기상 악화로 인해 올해 국산 양배추의 작황이 아주 부진했다”며 “국산 양배추의 출하량이 줄고 시세가 오르자 값이 싼 중국산 수입량이 대폭 늘어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양배추값은 출하량이 평년 수준보다 많았던 봄작기(6∼7월)를 제외하곤 줄곧 강세 기조를 지속해왔다.
10월에는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의 평균 경락값이 8㎏ 상품 한망당 1만4099원을 기록해 전년 10월의 6397원은 물론 평년 7588원보다 2배가량 높았다.
수입 양배추는 대부분 중국산이며, 수입단가는 1㎏당 400원을 밑도는 것으로 파악된다. 또 식품가공업체와 식자재업체에 곧바로 판매되고, 일부 물량은 가락시장 등 도매시장에서도 거래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수입업체의 한 관계자는 “중국산 양배추는 대부분 가공용으로 소비된다”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가정간편식(HMR) 수요가 늘자 값싼 중국산 양배추를 재료로 사용하는 가공업체들이 늘었다”고 귀띔했다.
전문가들은 중국산 양배추의 국내시장 잠식을 크게 걱정하고 있다.
중국산 당근의 사례처럼 식품가공업체와 식자재업체에서 가격이 저렴한 중국산을 사용하기 시작하면 국산으로 되돌리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광형 한국농업유통법인중앙연합회 사무총장은 “중국산 양배추 수입 확대는 국산 양배추의 생산 기반을 무너뜨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도매시장에서도 중국산 양배추의 거래량이 늘고 있어 중국산 양배추의 국내시장 잠식 속도가 가속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농축유통신문] 강서도매시장 일부 시장도매인 수입양배추로 ‘재미’
[한국영농신문] 도매제 중심의 도매시장 거래제도 개혁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