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연합회소개
인사말
연합회소개
역대회장/연혁
임원현황
조직도
지역연합회
주요사업
찾아오시는 길
산지유통인
산지유통인
포전거래
주요취급품목
정부지원사업
농산물정보
친환경농산물
농산물우수관리 인증
농산물이력추적
원산지관리
표준규격화
좋은 농산물 고르는 방법
게시판
공지사항
주요일정
연합회활동사진
지역연합회
농산물뉴스
자유게시판
자주하는질문
질문과답변
회원메뉴
회원가입
고급정보
사이트맵
> 게시판 > 농산물뉴스
[농민신문] 농관원, 통신판매 농식품의 원산지표시 관리 강화 방안 논의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5-03-21
조회
360
첨부파일
20250320500322.jpg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20일 서울사무소에서 소비자단체, 농식품 통신판매업체 등과 통신판매 원산지 자율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농관원
위반 사례, 2019년 278곳→2024년 763곳
온라인 교육, 신고센터 설치 등 자율시정 추진
농민신문 지유리 기자 2025. 3. 21
정부가 온라인에서 거래하는 농식품의 원산지 표시가 제대로 이뤄질 수 있도록 팔을 걷어붙였다.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20일 서울사무소에서 민·관 협의회를 열고 ‘통신판매 원산지 자율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농관원에 따르면 농식품 통신판매 시장 규모는 2019년 26조7000억원에서 2024년 76조3000억원으로 185.8% 급증했다. 같은 기간 원산지 위반 적발 업체도 278곳에서 763곳으로 174.5% 뛰었다.
이에 농관원은 2022년부터 ‘통신판매 원산지 자율관리 협의체’를 꾸리고 ▲온라인 플랫폼 자율 모니터링 구축 ▲입점업체 교육 ▲원산지 제도 홍보 등을 펼치며 통신판매 원산지 표시제 정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번 협의회에서는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업체가 자율적으로 원산지 표시 관리에 힘쓰기로 했다.
우선 원산지 표시 방법에 대한 미흡하다는 온라인 플랫폼 입점업체의 요청에 대해 실시간 비대면 온라인 교육을 통해 표시 규정을 자세히 안내할 방침이다. 특히 입점업체가 궁금한 사항을 직접 질문하고 답을 들을 수 있는 시간을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해 배달 플랫폼 ‘배달의민족’과 협업해 보급한 음식점 원산지 표시 동영상이 교육에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 후속으로 원산지 위반 품목과 사례 등을 중심으로 구성한 동영상을 추가 제작해 교육용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한국온라인쇼핑협회 내에 ‘원산지 표시 신고센터’를 설치하고 이를 통해 모니터링을 강화해 온라인 플랫폼이 자율적으로 원산지 표시 위반을 시정·조치할 수 있도록 한다.
박순연 농관원장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한국통신판매사업자협회 등과 협업을 통해 지속적으로 통신판매 원산지 표시 관리를 강화해 나가겠다”며 “통신판매 원산지 표시 정착을 위해 정부와 업체, 소비자의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국농어민신문] 농식품부, 제4차 식생활교육 기본계획 발표···식생활 교육 전문 인력 육성
[농업인신문] 한국 콕 찍은 미국, “농축산물 비관세 장벽 낮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