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상기후로 고랭지 채소 병해충 발생이 늘고 작황이 저조해지면서 농가를 중심으로 대응 품종 개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세균성 질병으로 피해를 본 무 이파리의 모습
기후변화 대응 품종 많지 않고
입소문 난 종자 값은 크게 올라
“정부, 신품종 개발 적극 나서야”
농민신문 평창=이연경 기자 2025. 2. 27
“고랭지에서 40년 농사를 지었는데 올해는 무슨 종자를 심어야 할지 아직도 모르겠습니다.”
강원 평창군 대관령면에서 4만2975㎡(1만3000평) 규모로 배추·무 농사를 짓는 임병철씨(차항리·66)는 요즘 마음이 편치 않다. 여름 농사를 앞두고 종자를 구해야 할 시기인데 어떤 품종을 선택해야 이상해진 날씨에도 농사를 잘 지을 수 있을지 알 수 없어서다.
임씨는 “예전엔 주로 ‘○○’ 품종을 재배했는데, 고랭지 기후도 급변하다 보니 수확량이 안 나오더라”며 “3년전부터 ‘▲▲’ 품종으로 바꿨는데 지난해에는 이것조차도 바뀐 기후를 못 견뎠다”고 말했다.
여름 작물 종자 구입시기가 다가오면서 고랭지배추·무 농가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최근 잦은 기상이변으로 수확량 감소와 상품성 저하가 잇따르는데 이에 대응할 만한 품종은 구하기가 쉽지 않아서다.
임씨는 “예년 같으면 8월말이면 서늘해져야 할 대관령 날씨가 지난해는 9월이 돼도 더위가 꺾이질 않더라”며 고개를 갸웃했다. 곁에서 대화를 듣던 다른 농민도 “배추가 찜이 됐다”며 혀를 내둘렀다.
기상청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연평균기온은 14.5℃로 평년 12.5℃ 대비 2.0℃ 높았으며, 종전 최고 평균기온이었던 2023년 13.7℃보다 0.8℃ 높았다. 대관령 지역 역시 지난해 연평균기온 8.9℃를 기록하며, 1971년 대관령에서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고기온이었던 2023년 평균기온 8.5℃를 경신했다.
달라진 날씨에 질병도 증가세지만, 기존 품종은 병을 이기기에도 역부족이라는 것이 농가들 주장이다. 대관령농협에서 고랭지무공동회장을 맡고 있는 권순진씨(횡계리·53)는 “최근 몇년간 무름병부터 위황병·반쪽시듦병이 증가했으며, 지난해엔 세균성 병으로 무 수확량이 줄었다”고 설명했다.
농가들은 새로운 품종 구하기에 나서고 있지만 여의치 않다고 하소연이다. 시판되는 종자 중 기후변화 대응 품종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제법 규모가 큰 종자업체들이 기후변화에 대응한 품종을 개발해 판매하고 있지만 그것만으론 충분하지 않다는 것이다.
평창의 한 농민은 “모 농협 임원까지 했을 정도로 고랭지 농사에 ‘난다 긴다’하는 분이 기후변화 대응 품종이라는 업체의 말을 믿고 새 무 품종을 심었다가 지난해 농사를 망쳤다”면서 “선도농가들도 실패하는 모습을 보면서 농가들이 새 품종을 선뜻 선택하기가 쉽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상황이 이렇자 고온에 강하다는 ‘입소문’이 난 일부 품종 종자는 가격이 오르는 등 부작용도 발생하고 있다.
한 무 재배농가는 “여름철 고온에 비교적 강하다고 알려진 품종이 있는데, 5만5000원 하던 종자 가격이 6만원까지 올랐다”며 “그마저도 업체가 ‘갑’이 되어 원하는 양을 제때 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함원호 대관령농협 조합장은 “종자가 기후를 못 좇아가는 실정”이라며 “정부는 물가 잡겠다고 외국산 채소만 수입할 게 아니라, 우리나라의 새로운 기후에 맞는 품종부터 개발하는 게 급선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