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노동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정부가 올해 농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농기계 등 스마트 농기계 개발을 위한 4개의 R&D 신규과제를 시행한다. 또 개발한 스마트 농기계가 현장에서 원활하게 정착해 사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농기계 관련 검정기준 마련을 추진하고 스마트 농업기계 관련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도 진행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도 농업기계화 시행계획’을 최근 공고했다.
▲스마트 농기계 개발과 제도 개선=농업용 로봇과 자율주행 농기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식품부는 올해부터 2027년까지 농업용 로봇·자율주행 농기계·작업기 등의 통신 연계·활용을 위한 데이터 표준화, 통신 중계장비 개발, 작업 모니터링 기술 연구 등 통신 표준화 R&D 신규과제를 추진한다.
스마트 농기계 검정기준도 마련한다. 우선 자율주행 모드의 모니터, 목표물 인식과 안전거리 확보, 자율주행 안전을 위한 가상경계 인식기능 등 안전기준을 신설한다. 또 올해 프랑스·일본·이탈리아와 함께 진행하는 자율주행 평가제도 고도화를 위한 국제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전기식 농업기계에 탑재하는 리튬이차전지의 폭발사고 등이 우려되는 만큼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검정 방법과 기준제도를 구축한다.
농업용 로봇 관련 R&D와 현장보급을 위한 검정제도를 마련해야 한다는 요구에 발맞춰 R&D 개발품과 시제품 성능시험을 통해 검정방법과 계측시스템을 고도화한다. 또 농업용 로봇 검정방법과 기준 등을 마련하기 위해 전문가 협의회를 운영한다.
이외에도 지난해에 이어 전기·수소 농기계 개발도 진행한다. 농식품부는 지난해 마무리한 3개 과제(SS기·관리기·트랙터)에 대한 최종평가, 사료작물수확기와 수소농기계 관련 연구 목표 대비 추진실적 등을 지원한다.
▲정비 인력 양성=스마트 농업기계의 안전·정비 등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율주행·로봇·드론 등 첨단농업기계에 대한 수준별 교육(10과정)을 개설하는 한편 작목재배기술을 농업기계 활용에 접목할 수 있는 과정도 운영한다.
대학 과정에도 스마트 농기계 교육을 강화한다. 우선 디지털 농업기계 분야의 석·박사급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디지털 농업 융합 전공‘을 신설해 모집한다. 또 농업용 로봇과 인공지능 경진대회를 확대 운영한다. 이외에도 한국폴리텍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시스템학과에 농기계정비 교육 과정(1년)을 신설한다.
마늘·양파 등 ‘밭농업 기계화’
농기계 수출 활성화 등 지원
▲밭농업 기계화 촉진=67.0% 수준인 밭농업 기계화율을 높이기 위해 올해 마늘(12곳)·양파(11곳) 주산지인 23개 지자체와 함께 밭농업 기계화를 추진한다. 또 2026년 밭농업 기계화 우수모델을 추진하기 위한 품목 선정을 위해 관계기관과 전문가 검토를 진행한다.
기계화율이 낮은 정식(18.2%)과 수확(42.9%) 작업 관련 농기계 개발을 위해 배추 전과정 기계화 기술 확립과 주산지 중심 현장실증, 고추 정식작업 기계화 기술 개발과 수확 기계화 재배 실증, 자주식 인발형 마늘 복합수확기 시작기 제작과 성능 시험 등을 시행한다.
▲수출 활성화=2022년 정점 이후 소폭 감소하고 있는 농기계 수출 활성화를 위해 해외박람회와 연계한 사전 수출 상담과 제품 촬영 등을 지원한다. 올해 중국·필리핀·말레이시아·미국에서 열리는 4개국 박람회 참가와 수출 유망국을 대상으로 한 로드쇼를 지원한다. 이외에도 해외 인·허가 취득과 마켓테스트 비용으로 70개사에 최대 3000만원까지 지원하고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와 해외시장개척단 운영 등을 추진한다.
▲농기계 이용 활성화=농식품부는 올해 농기계임대사업소 13개소의 분소·증설·이전 설치와 45개소가 보유하고 있는 노후 농기계 교체를 지원한다. 또 자본과 기반이 부족한 청년 예비농들이 조기정착하고 안정적으로 농업경영을 할 수 있도록 농기계를 임대한다. 이외에도 현장중심 평가와 방문 컨설팅으로 추진되던 농기계 임대사업 운영 평가를 서면중심으로 평가하도록 개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