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연속 증가한 5곳 분석해보니
순창, 귀농지원 늘며 청년 급증
‘종잣돈·거주비’ 지급도 효과 커
가평, 수도권 인접 은퇴자 발길
신안, 연금 지급…노년층 정착
예산·울릉, 개발 영향 인구 증가
농민신문 순창=윤슬기 기자 2025. 1. 30
인구감소지역 89곳 가운데 5곳이 2022년 이후 2년 연속 인구 증가에 성공해 눈길을 끈다. 매년 초 행정안전부가 발표하는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분석한 결과로, 경기 가평군, 충남 예산군, 전북 순창군, 전남 신안군, 경북 울릉군이 그 주인공이다. 정부는 2021년 인구 감소로 소멸위험이 있는 전국 기초지방자치단체 89곳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해 지원하고 있다.
◆순창, 2030 청년이 늘어…농촌에 희망적
순창의 청년(만 18∼34세) 인구는 2022년 2878명, 2023년 2987명, 2024년 2994명으로 2년 새 116명이나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인구가 95명 는 것과 비교해 눈에 띄는 성과로, 전입 인구 중 청년 비율이 높았다는 뜻이다.
청년인구 증가는 순창군의 인구정책이 청년에 집중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최진숙 순창군 인구정책과 팀장은 “모든 계층을 대상으로 인구정책을 운영하지만 특히 청년층에 집중한다”면서 “종잣돈 마련이나 거주비 지원 등은 물론 가정을 이루고 오래 정주할 수 있도록 임신축하금·아동행복수당 등 다방면에 복지 혜택을 제공하려고 노력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촘촘한 복지정책에 대한 호응이 높다. 2023년 처음 시행한 ‘청년 근로자 종자통장 지원사업’이 대표적인데 청년들의 만족도가 높아 인기가 치솟았다. 지난해에는 시행 첫해보다 지원자가 4배가량 늘었을 정도다.
젊은 귀농인인 박기완씨(30)는 “월 15만원씩 납입하면 군이 30만원을 더해주고 별도의 은행이자까지 있어 쏠쏠하다”면서 “종잣돈을 마련해야 하는 청년들에게 안성맞춤”이라고 평했다.
순창의 청년인구 증가는 곧 청년농 증가로 이어진다는 분석도 있다. 이렇다 할 새로운 일자리가 생겨나지 않는 환경에서 청년인구 유입은 젊은 귀농인구의 증가로 해석되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역의 4-H연합회원 수도 매년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다.
대학 졸업 후 순창으로 귀농한 김지훈씨(26)는 “여러 지역을 비교해봤을 때 순창군의 귀농 지원이 가장 만족스러웠다”면서 “청년실습농장을 통해 월 80만원씩 지원받으며 일을 배우는 데다 지역특화작목을 택하니 자부담을 최소화하며 농장을 시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가평·신안, 노년층 위주 성장…예산·울릉은 개발 효과
노년층이 인구 증가를 이끈 지역도 있다. 가평은 2022년 대비 지난해 인구가 377명 증가했는데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같은 기간 65세 이상이 1990명이나 늘었다. 수도권이라는 입지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은퇴 후 가까운 지역으로 귀촌하려는 노년층의 발길이 이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가평에 최근 2년간 중소규모 아파트단지가 여러개 들어선 것도 은퇴귀촌 인구를 겨냥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안은 ‘햇빛연금’을 통해 노년층을 사로잡았다.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의 개발이익 일부를 주민들에게 돌려주는, 일명 ‘햇빛연금’이 도입된 이후부터 인구가 증가했는데 특히 노년층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2022∼2024년 총인구는 315명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노년층(65세 이상) 인구는 637명이나 늘었다. 햇빛연금은 분기별로 1인당 10만∼60만원의 지역상품권을 받을 수 있어 노후연금으로 쏠쏠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외 지역은 개발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예산군에 따르면 지난해 총 인구가 2022년 대비 1387명 증가했는데 대부분 신도시로 유입됐다. 지난해말 기준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내포 신도시에 주소지를 두고 있어 농촌 인구 증가로는 보기 어렵다.
울릉 역시 공항건설이 한몫했다. 정성원 울릉군 인구정책팀 주무관은 “몇년 새 40∼60대가 늘었는데 귀농·귀촌이 증가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대규모 건설에 따라 공사인력이 들어온 영향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