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 게시판 > 농산물뉴스
 
[한국농어민신문] “농촌 189개 소방지역대 폐쇄…대책 세우라”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4-10-02 조회 4353
첨부파일
농촌지역에서 189개 소방지역대가 폐쇄되면서 지역주민들의 소방안전 및 응급구조에 대한 불안감이 증대되고 있는 것과 관련 농민단체가 소방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대책마련을 주문하고 나섰다.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인 새정치민주연합 진선미 의원은 최근 소방방재청 자료를 바탕으로 소방서 건물만 있고 소방관이 없는 폐쇄지역대가 전국에 189개나 된다고 지적했다. 폐쇄된 지역대는 경북 63개, 충북 51개, 전만 37개, 충남 23개, 경기 8개, 세종 7개 순이다.

 소방지역대가 폐쇄되면서 해당지역주민들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위협이 되고 있다. 진선미 의원실에 따르면 올 5월 파주시 조리읍 봉일천리 상가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했는데 기존 ‘조리지역대’에서 900m지점이라서 3분 이내에 출동할 수 있는 거리였다. 하지만 조리지역대가 폐쇄되면서 인근 금촌지역대에서 출동해 화재현장까지 6분(3.2㎞)이 소요되면서 4명이 부상을 입고, 5800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진선미 의원은 “소방관 3교대 실시를 위해 소방119지역를 통폐합함으로써 출동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해당 지역주민들의 생명과 재산보호에 위협이 되고 있고, 농촌지역은 출동시간이 더 길어지고 있다”며 “폐쇄지역대에 소방관을 재배치해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회장 김준봉)는 지난달 29일 성명을 내고 “전국 농촌지역의 189개 119소방지역대가 폐쇄됨에 따라 사고현장까지 소방차 출동시간과 거리가 평균 6분, 4.34㎞에서 약 2배 가까이 증가해 10분56초, 8.41㎞가 됐다”며, “이는 인명구조와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어 농업인뿐만 아니라 해당지역 주민들도 소방안전 및 응급구조에 대한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농촌지역은 소방안전의 사각지대로 재난이나 인명피해에 대응하는데 매우 어려운 상황에 있다. 이에 삶의 질 향상위원회가 2011년부터 농어촌서비스기준 제도를 도입하고, 안전부문에 5분 이내에 소방차 현장도착 세부지표 목표치를 55%로 설정했다. 그러나 2012년 52.3%에서 2013년 42.8%로 10%나 하락하는 등 서비스기준제도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한농연은 “농촌과 도시의 격차 없이 소방서비스가 균등히 제공돼야 한다”며 “농촌지역의 경우 고령화로 인한 응급구조 수요증가, 농촌지역의 원거리 특성, 노후화된 생활환경, 산불증가 등을 감안해 소방서비스는 농촌지역에 우선적으로 제공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한농연은 △농촌지역에 폐쇄된 119소방지역대 및 소방원 재배치 △관련예산 증액 △농촌지역 소방인력 확충 등 소방안전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다각적 대책마련을 주문했다.

서상현 기자
  “배추ㆍ무 도매가격, 작년 수준 하락세”
  [농민신문] 가락시장 시장도매인제 도입 논란 확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