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 엽근채소 관측 222년 11월호
농업관측센터 엽근채소 관측팀 2022. 11. 1
(내용 요약)
■ 배추
□ 가격동향 : 10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도매가격(상품): 11,150원/10kg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준고랭지2기작 배추 품위 저하, 대량수요처 수요 지속으로 10월 상순 가격 강세 지속
*10월 중순 가을배추 출하 시작되며 가격 하락세 전환
- 순별 가격: 상순 17,090원, 중순 9,400원, 하순 7,600원
□ 생산전망 : 가을배추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 평년 수준
○ 가을배추 생산량: 126만 7천 톤 (전년 대비 10.4% 증가, 평년 대비 1.3% 감소)
• 재배면적: 13,617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0%, 1.3% 증가)
• 단수: 9,302kg/10a (전년 대비 8.2% 증가, 평년 대비 2.5% 감소)
- 병해(시들음병, 무름병) 확산되어 작황 매우 부진하였던 전년 대비 양호
- 10월 가을배추 주산지 평균기온 저하로 결구 미숙 등 생육 다소 지연
- 강원·경기·영남 일부 지역 뿌리혹병, 바이러스 등 병해 발생하여 평년 대비 다소 부진
- 11월 본격 출하될 호남지역 배추 작황은 상대적으로 양호, 평년 수준
• 정식 지연, 낮은 기온 지속으로 생육 더뎌 10월 중·하순 출하 시작(전년 10월 중순
□ 겨울배추 생산전망 : 겨울배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겨울배추 생산량: 26만 6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1%, 12.2% 감소)
• 재배면적: 3,593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6%, 12.2% 감소)
- 주산지 해남지역 가을배추로의 작형 전환, 쌈배추 전환 등으로 전년 대비 감소
- 9월 상순 태풍(힌남노) 영향으로 전년 대비 5~10일 느린 9월 하순 정식 마무리
- 겨울배추 정식기(9월) 가격 강세, 2021년산 만생종 작황 부진으로 금년 조생종 선호 증가
• 생육에 적절한 기상 상황 지속되어 초기 작황 양호
• 가을배추 출하 마무리되는 12월 중·하순 출하 시작(전년 12월 상·중순)
• 평년 단수(7,417kg/10a) 적용 시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한 26만 6천 톤 내외 전망
□ 수출입동향 : 10월 김치 수입량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10월(1~20일) 김치 수입량: 17,781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9.9%, 10.5% 증가)
• 수입단가: 646달러/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9%, 23.9% 상승)
• 국내 판매가능가격: 12,370원/10kg (전년 대비 31.5% 상승)
• 신선배추 수입량 2022년 7월 74톤, 8월 781톤, 9월 1,082톤, 10월(1~20일) 92톤
10월(1~20일) 김치 수출량: 1,897톤 (전년 대비 14.1% 감소, 평년 대비 22.6% 증가)
□ 출하전망 : 김장철인 11~12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
○11월 출하량: 전년 대비 11.8% 증가, 평년 대비 1.3% 감소
• 작황 크게 부진하였던 전년 대비 증가
12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 출하 비중 큰 가을배추 생산량 증가로 출하량 증가
※ 2022년 김장채소 수급안정 대책(10.28.)
• 수급 불안 품목 중심 공급 확대, 주요 품목 할인지원을 통한 김장비용 및 소비자 체감물가 경감
- (공급안정) 배추·무 기상악화 또는 병해 발생에 따른 작황 급변에 대비하여 산지 작황
모니터링 및 현장 기술지도 강화 등 생산안정 지원
- (소비자부담 완화) ‘농축산물 할인지원’사업과 연계하여 대형마트·하나로마트, 온라인몰
등에서 김장채소류 할인 판매
- (홍보 및 소비자보호) 농산물 유통정보(KAMIS, aT) 홈페이지 내 김장관련 정보 제공으로
합리적 소비 유도, 김장채소류 부정유통 단속 및 안전성 관리 강화
□ 가격전망 : 11월 가격 전년 대비 하락
○ 11월 도매가격(상품): 7,000원/10kg (전년 대비 하락, 평년 수준)
• 가을배추 작황 전년 대비 양호하고 출하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가격 가을배추 출하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하락
■ 무
□ 가격동향 : 10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도매가격(상품): 25,810원/20kg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준고랭지2기작 무 생산량 감소, 가을일반무 생육지연으로 가격 상승
다발무 도매가격(상품): 732만 원/5톤 트럭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다발무 첫 출하 10월 11일(평년 10월 15일), 일부 조기 출하 진행
□ 생산전망 : 가을무 생산량 전년 수준, 평년 대비 소폭 감소
○ 가을무 생산량: 38만 5천 톤 (전년 수준, 평년 대비 1.8% 감소)
• 재배면적: 4,973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9%, 2.1% 증가)
• 단수: 7,736kg/10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2%, 3.8% 감소)
- 가을무 생육기(10월) 기온하락 및 강수량 부족으로 생육지연
- 경기지역 파종기 우천 영향으로 생리장해(가랑이무, 열근) 일부 발생
- 호남지역 비료 과다로 인한 생리장해(공동, 열근) 및 병해(뿌리혹병) 발생
• 가을무 첫 출하는 평년과 비슷한 10월 중순 시작, 11월 김장철 본격 출하
□ 겨울무 생산전망 : 겨울무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겨울무 생산량: 35만 9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재배면적: 5,611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4.7%, 8.9% 감소)
- 휴경 및 연작피해 우려로 재배면적 감소, 콩, 비트 등으로 전환
- 태풍(힌남노) 영향으로 9월 상순 파종 비중 전년 대비 5.8%p 감소
• 단수: 6,407kg/10a (전년 대비 3.8% 감소, 평년 대비 0.9% 증가)
- 8월 파종(12월 출하)분 그물망 작업 등으로 태풍 피해 크지 않아 작황 평년 대비 양호
- 9월 상·중순 파종분 병해 발생 미미하여 작황 양호하나, 강수량 부족으로 생육지연 발생
- 9월 하순 파종분 가뭄 영향으로 발아율 평년 대비 다소 감소, 일부 충해 발생하여 향후 작황 부진 우려
• 이른 파종(8월 중순)으로 11월 하순 일부 출하 시작, 12월부터 본격 출하
□ 출하전망 : 11월 출하량 전년 수준, 평년 대비 감소
○ 11월 가을무 출하량: 전년 수준, 평년 대비 1.6% 감소
• 평년 대비 가을무 생산량 감소로 11월 출하량 감소
12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9%, 1.5% 감소
• 가을 및 겨울무 생산량 감소로 12월 출하량 감소
□ 가격전망 : 11월 도매가격 전월 대비 하락하여 전년 수준
○11월 외대무 도매가격: 11,500원/20kg (전년 수준, 평년 대비 상승) 전망
• 외대무 가격은 김장철 본격 출하로 전월보다는 하락하여 전년 수준 전망
※ 모니터 조사 결과, 다발무는 전년(718만 원)과 비슷, 평년(636만 원) 대비 상승 전망
12월 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양배추
□ 가격동향 : 10월 도매가격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도매가격(상품): 9,720원/8kg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여름양배추 출하량 감소로 가격 평년 대비 상승, 가을양배추 주산지 확대로 순별 가격 하락
- 순별 가격: 상순 11,310원, 중순 9,770원, 하순 8,360원
□ 생산전망 : 가을양배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가을양배추 생산량: 2만 9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재배면적: 674ha (전년 대비 4.9% 감소, 평년 수준)
• 단수: 4,314kg/10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1%, 4.0% 감소)
- 충청지역 생육 초기 잦은 비, 결구 시기 저온으로 생육지연 및 구 비대 원활하지 못해 작황 부진
- 호남지역 결구 시기(9월 하순~10월 중순) 저온으로 조생종 양배추 작황 부진, 중생종은 양호
• 가을양배추 최대주산지 충청지역 본격 출하시기는 10월 하순, 호남은 11월 중순
□ 겨울양배추 생산전망 : 겨울양배추 생산량 평년 대비 증가
○ 겨울양배추 생산량: 16만 3천 톤 (전년 대비 감소, 평년 대비 증가)
• 재배면적: 2,908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7%, 0.9% 감소)
- 제주지역은 9월 상순 태풍 영향으로 폐작면적 발생하여 전년 대비 6.8% 감소
- 호남지역은 출하기(금년 3~4월) 가격 높아 4.2% 증가
• 단수: 5,610kg/10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5%, 7.9% 증가)
- 2022년 2월 하순 저온 및 가뭄으로 작황 부진했던 2021년산 대비 작황 양호
- 10월 상순 이후 강수량 없어 작황 부진 가능성
- 첫 출하시기 12월 중순, 내년 4월 하순 출하 종료 예정
※ 수급이슈
내년 1~4월 양배추 가격 등락폭 심화 가능성
• 겨울양배추 9월 상순 정식비중 감소, 중순 이후 정식면적 증가
- 9월 상순 태풍 예보로 정식 예정 시기 지연되어 전년 대비 큰 폭 감소
- 이후 밭 정리 및 만생종 보식으로 9월 하순은 전년 대비 증가
- 9월 상순 정식분 출하되는 내년 1~2월 가격 상승, 만생종 출하 시기 3월 이후 가격은 하락 가능성
□ 출하전망 : 11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11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1.8%, 5.2% 감소
• 가을양배추 출하면적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출하량 감소
12월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 평년 수준
□ 가격전망 : 11월 가격 전월 대비 하락
○ 11월 도매가격(상품): 7,500원/8kg 내외(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호남지역 가을양배추 11월 중순 본격 출하
※ 2022년 김장 의향 소비자 조사 결과
□ 조사개요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소비자패널(620명) 대상, 김장철 채소류 소비 실태 조사 실시
- 가정 내 소비자 중심의 김장 수요, 김장김치 조달 형태, 김장 원부재료 구매 행태 등 조사
□ 2022년 김장 수요
• 김장 의향, ‘전년과 비슷하게 담글 것이다’ 55.6%, ‘전년보다 적게 담글 것이다’ 30.2%
- 김장 수요 감소 이유로는 ‘김장 비용 부담’(34.6%), ‘김치 섭취량 감소’(26.5%) 순
• 김장용 배추 구매 의향 21.8포기(전년 22.1포기), 무 구매 의향 8.4개(전년 8.7개)
- 김장용 배추 형태별 구매 비중은 절임배추(55.9%), 신선배추(40.4%)
□ 2022년 김장 시기는 11월 하순~12월 상순 집중
• 10월 말~11월 상순 북부지역(서울·경기·강원)을 시작으로 전국으로 확대, 12월 상순 이후 마무리
• 11월 하순~12월 상순 김장 비중 51.6%로 전년(53.1%) 대비 감소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