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 양념채소 관측 2022년 11월호
농업관측센터 양념채소 관측팀 2022. 11. 1
[주요 내용]
■ 건고추
○ 가격동향
* 10월 건고추 가격 전월과 비슷
- 도매가격 : 13,350원/600g(화건 상품)
-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전월과는 비슷
○ 생육상황
* 2022년산 고추 생육 전년 대비 부진, 수확 종료 전년보다 빨라
* 2022년산 고추 생육 전년 및 평년 대비 부진
* 10월 수확 가능한 착과수 전년 대비 ‘적음’ 응답 65.0%, 늦사리 비율 10.8%
- 10월 기상여건 좋았지만 전월 대비 수확량 변화 미미
• 10월 중순 이전 수확 종료한 농가 전체의 78% (전년 대비 18%p 증가)
○ 생산전망
*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2022년산 건고추 생산량 : 6만 3천 톤 내외 (전년 대비 21.6%, 평년 대비 10.6% 감소)
* 재배면적 : 29,770ha (전년 대비 10.8%, 평년 대비 2.5% 감소, 통계청)
* 단수 : 211kg/10a (전년 대비 11.6%, 평년 대비 7.8% 감소)
- 정식 초기 가뭄 및 여름철 기상 여건 악화로 전체 수확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가격전망
* 11월 건고추 가격 전월 대비 하락
* 도매가격 : 13,000원/600g(화건 상품) 내외
*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및 평년 대비 높으나, 전월 대비 하락
※ 김장 수급안정 대책으로 비축물량 1,400톤을 매주 500톤 내외 방출 계획
■ 양파
○ 가격동향
* 10월 양파 가격 전월 대비 소폭 상승
* 가락시장 평균 도매가격 : 1,517원/kg(상품)
* 저장업체 출하 조절로 국내산 양파 일 평균 반입량 전년 및 전월보다 적은 561톤
○ 저장동향
* 2022년산 양파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10월 말 기준 재고량 : 40만 2천 톤 (전년 대비 19.0%, 평년 대비 15.8% 감소)
* 2022년산 중만생종양파 입고량 : 61만 5천 톤 (전년 대비 14.5%, 평년 대비 10.3% 감소)
* 누적 출고량 : 16만 7천 톤 (전년 대비 1.2% 감소, 평년 대비 9.9% 증가)
- 저장업체 출하조절로 10월 출고량 전년보다 14% 적은 수준
○ 가격전망
* 11월 양파 가격 전월과 비슷
* 도매가격 : 1,500원/kg(상품) 내외
* 출하 조절로 공급량 적으나 수급안정을 위한 대책 시행 영향으로 전월과 비슷
※ 김장 수급 안정 대책으로 비축물량 3,600톤을 매주 240~500톤 방출 계획
○ 재배의향
* 2023년산 양파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
* 2023년산 재배(의향)면적 : 17,043ha (전년 대비 2.7%, 평년 대비 12.6% 감소)
* 2022년산 수확 초기(4~5월) 가격이 낮아 재배(의향) 감소
- 조생종양파 : 2,928ha (전년 대비 1.6% 감소, 제주지역 증가하나, 전남지역 감소)
- 중만생종양파 : 14,115ha (전년 대비 3.0% 감소)
* 10월 말 기준, 전년 대비 재배(의향) 감소 폭은 8~9월 조사치 대비 축소
* 2023년산 육묘 생육은 전년보다 다소 부진하나 평년과 비슷한 수준
■ 마늘
○ 가격동향
* 10월 깐마늘 가격 전월 대비 하락
* 깐마늘 도매가격 : 8,198원/kg(상품), 난지형 마늘 도매가격 : 7,009원
* TRQ 도입 및 민간 수입량 증가 영향
○ 저장동향
* 2022년산 난지형 마늘 재고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10월 말 기준 재고량 : 7만 2천 톤 (전년 대비 1.2%, 평년 대비 13.1% 감소)
* 2022년산 난지형 마늘 입고량 : 9만 1천 톤 (전년 대비 5.8%, 평년 대비 15.2% 감소)
* 누적 출고량 : 1만 6천 톤 (전년 대비 18.4%, 평년 대비 21.7% 감소)
- 최근 가격 하락 추세로 저장업체 출고 원활하지 않아 출하량 감소
* 2022년산 입고가격(10. 20.) : 남도종 5,200원/kg 내외, 대서종 5,000원/kg 내외
○ 가격전망
* 11월 깐마늘 가격 전월 대비 하락
* 도매가격 : 8,100원/kg(상품) 내외
* 재고량 전년 대비 소폭 적으나, 정부 비축물량 시장방출(김장철 수급안정 대책 시행)과
민간 수입 물량 증가 영향으로 전년 및 전월 대비 하락
※ 김장 수급안정 대책으로 비축물량 5천 톤을 깐마늘로 가공하여 대형마트 등에 공급 계획
○ 재배의향
* 2023년산 마늘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증가
* 2023년산 재배(의향)면적 : 24,224ha (전년 대비 2.3% 증가, 평년 대비 6.7% 감소)
* 한지형 4,633ha (전년과 비슷), 난지형 19,591ha (전년 대비 2.8% 증가)
- 난지형 품종별 재배(의향)면적 : 대서종 4.9% 증가, 남도종 0.5% 감소
* 파종 진행률(10월 말 기준) : 80.7%, 전년(76.0%) 및 평년(77.7%) 대비 높은 수준
■ 대파
○ 가격동향
* 10월 대파 가격 전월과 비슷
* 도매가격 : 1,837원/kg(상품)
* 순별 평균 가격 : 상순 2,097원, 중순 1,736원, 하순 1,707원
- 상순 강원지역 작황이 부진하여 산지 출하량 및 전국 도매시장 반입량 감소
○ 출하전망
* 11월 대파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
* 11월 출하량 : 전년 대비 5.8% 감소
* 출하면적 : 전년 대비 1.1% 증가 (경기·호남지역 재배면적 증가)
* 단수 : 전년 대비 6.9% 감소
- 금년 여름 폭우와 태풍 등의 영향으로 작황 부진
○ 가격전망
* 11월 대파 가격 전월과 비슷
* 도매가격 : 1,850원/kg(상품) 내외
* 김장철 수요가 증가하는 중순 이후 가격은 영광 일부 지역 출하되면서 상순 대비 하락 예상
○ 재배의향
* 10~12월 대파 정식(의향)면적 전년 대비 증가
* 10∼12월 정식(의향)면적 : 전년 대비 3.8% 증가 (금년 정식기 가격 상승)
* 경기지역 시설 대파 증가와 전북지역 돌려짓기 영향으로 정식(의향)면적 증가
■ 2022년 김장철 건고추, 마늘 구매 의향 조사 결과
○ 2022년 김장배추 구매량 전년 대비 감소
- 김장배추 포기 수(4인 가족 기준) : 21.8포기 (전년 22.1포기 대비 0.3포기 ▼)
•‘김장비용이 많이 들 것 같아서(34.6%)’, ‘김치 소비량이 줄어서(26.5%)’ 등
○ 김장철 건고추 및 마늘 구매량 전년 대비 감소
- 채소가격 강세 등으로 건고추 구매량 전년 대비 2.9%, 마늘 5.2% 감소
○ 김장철 건고추 및 마늘 구매 형태
* 건고추 구매 형태 : 고춧가루(76.4%), 건고추(22.2%), 홍고추(1.3%)
- 고춧가루 형태 구매 비율 매년 증가, 건고추는 감소, 고추 구매는 대부분(82.3%) 11월 전 완료
* 마늘 구매 형태 : 통마늘(57.0%), 깐마늘(32.5%), 다진마늘(10.5%)
- 통마늘 형태 구매 비율 매년 감소, 깐마늘과 다진마늘로 구매 형태 전환되는 추세
○ 김장철 마늘은 ‘도매시장 또는 재래시장,’ 건고추는 ‘지인을 통한’ 구매 가장 선호
* 건고추 주요 구매처 : 부모·친지·지인을 통한 구매(38.8%), 농가 직거래(19.0%), 도매·재래시장(16.0%)
* 마늘 주요 구매처 : 도매·재래시장(34.6%), 백화점·대형유통업체(22.9%), 부모·친지·지인을 통한 구매(18.7%)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