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 감자관측 2022년 6월호
농업관측센터 곡물관측팀 2022. 5. 31
□ 가격 추이
○ 5월 수미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 수미 도매가격(5.1.~30.) : 57,148원/(상품 20kg)
- 저장 감자 출하량 감소 및 노지 봄감자 작황 저조
※ 전체 일평균 반입량(5.1.~30.) : 333톤 (전년 대비 22.5%, 평년 대비 5.6% 감소)
□ 생육 상황
○ 2022년 노지 봄감자 작황 평년 대비 양호, 전년 대비 저조
•5월 강우 부족 및 일교차 확대 등 감자 생육 부진
- 기상 상황 (전년 대비) : 누적 강수량 135.6mm↓, 평균 일교차 1.8℃↑
- 표본 농가 조사 결과 (전년 대비) : ‘좋음’ 25.1%, ‘나쁨’ 36.7%
□ 생산 전망
○ 2022년 노지 봄감자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
•2022년 생산량 : 34만 1천 ~ 35만 4천 톤 (전년 대비 6.7~10.%2, 평년 대비 6.8~10.4% 감소)
- 재배면적 : 13,627ha (전년 대비 4.5%, 평년 대비 13.2% 감소)
- 단수 : 2,501kg/10a (전년 대비 6.0% 감소, 모형 추정치)
2,601kg/10a (전년 대비 2.3% 감소, 농가 조사 결과)
□ 출하 전망
○ 6월 감자 출하량 전년 대비 감소
• 출하량 : 전년 대비 6.5% 감소 전망
- 시설 봄감자 수확 종료 및 노지 봄감자 생산량 감소 영향
□ 가격 전망
○ 6월 수미 도매가격 전월 대비 하락, 전년 대비 상승
•수미 도매가격 : 33,000~35,000원/(상품 20kg)
- 노지 봄감자 출하량 전월보다 증가하나 전년 대비 감소 영향
□ 재배면적 전망
○ 2022년 고랭지감자 재배면적 평년 대비 증가, 전년 대비 감소
• 2022년 재배면적 : 3,659~3,698ha (전년 대비 4.9~5.9% 감소, 평년 대비 2.6~3.7% 증가)
- 인건비 상승 및 고령화 등 영향
- 평창, 횡성 등 주산지를 중심으로 재배면적 감소
- 주요 대체 작목은 양배추, 대파 등
◎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제22호
• 덩이줄기 비대기에는 수분 요구량이 감자 생육기간 중 가장 많으므로 이 시기에는 토양 수분이 충분하도록 유지해야 함
• 덩이줄기 비대기 고온 가뭄과 칼슘 부족은 내부갈색반점 발병률을 높임
- 수분 함량을 2~7% 유지하여 지온을 떨어뜨리고 수분 공급
- 덩이줄기 비대기에 고온 가뭄이 예측될 경우 파종 전 황산칼슘을 살포하면 내부갈색반점 발병률을 12% 낮출 수 있었음(고령지농업연구센터)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