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게시판 > 공지사항 |
|
|
|
|
 |
|
2021년 시설 봄배추·무 재배면적 실측조사 결과(2021.04.15)
농업관측본부 엽근채소관측팀 2021. 4. 15
< 배추>
1. 시설봄배추 재배면적 실측조사 결과
□ 2021년 시설봄배추 재배면적 전년 수준, 평년 대비 증가
○ 2021년 시설봄배추 재배면적 전년과 비슷하나, 평년 대비 4% 많은 497ha
- 1월 상순 겨울배추 주산지(전남 해남·진도) 한파 피해 발생 이후 정식
의향 높아져 재배면적 평년 대비 증가
- 4월호(3.31.) 재배면적 전망치와 비교하면 0.9%p(5ha) 감소
2. 지역별 재배면적 동향
□ 충청·호남지역 재배면적 전년 수준, 그 외 지역은 큰 폭 감소
○ 지역별로 재배면적 비중이 높은 충청·호남지역은 전년과 비슷하나, 비
주산지인 경기·강원, 영남은 전년 대비 각각 26%, 10% 감소
- 비주산지는 정식 및 출하기 가격이 높았던 작목이 선호되어 경기·강원은
대파, 영남은 시금치로 작목이 전환된 것으로 파악
3. 정식 및 생육 동향
□ 시설봄배추 정식 3월 중순 종료, 작황은 평년 수준
○ 2021년 시설봄배추 주 정식시기 전년(2월 상순) 대비 늦은 2월 중순
- 전년에는 2월 상순 정식 비중이 64%로 가장 높았고, 금년은 2월 중순이
50%로 높게 나타나 주 정식시기가 늦춰진 것으로 파악
- 겨울배추 한파 피해 발생 이후 배추 육묘를 준비한 농가가 많아 정식
종료시기도 전년 대비 늦은 3월 중순
- 주요 품종은 진청(62%), 춘광(10%), 대통(10%) 등
○ 2021년 시설봄배추 현재까지 작황 평년 수준
- 생육기 주산지 기상여건 좋아 출하 단수는 평년과 비슷 전망
- 본격 출하시기는 4월 하순이며, 늦은 정식으로 5월 출하가 시작되는 농가
비중이 전년 대비 12%p 높을 것으로 조사
<무>
1. 시설봄무 재배면적 실측조사 결과
□ 2021년 시설봄무 재배면적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2021년 시설봄무 재배면적은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5%, 4% 감소한 172ha
- 2020년산 월동무 생산량 증가로 인한 파종기(2월) 가격 하락과 출하기(5∼
6월) 가격 하락 우려로 재배면적 감소
- 4월호(3.31.) 재배면적 전망치와 비교하면 1.3%p(3ha) 감소
2. 지역별 재배면적 동향
□ 호남지역 시설봄무 재배면적 전년 대비 17% 감소, 영남은 10% 감소
○ 최대 주산지인 호남(영암, 고창, 부안 등)지역 재배면적 감소폭이 타
지역 대비 큰 편
- 대체작목은 대파, 당근, 수박 등으로 조사
3. 파종 및 생육 동향
□ 시설봄무 파종 3월 중순 종료, 작황은 평년 대비 양호
○ 2021년 시설봄무 파종 진행 전년 대비 다소 느린 편
- 전년에는 파종기(1∼2월) 가격이 높아 2월까지 파종 진행률이 79%이었으나, 금년은 74%로 파악
- 3월 파종 비중도 전년 대비 5%p 높았고, 3월 중순 대부분 완료
- 주요 품종은 신청일품무(43%), 청대봄무(14%), 삼박자무(14%) 등
○ 2021년 시설봄무 작황 평년 대비 양호
- 생육기(2∼4월) 기상여건 좋아 현재까지 작황 평년 대비 양호
- 4월 출하가 시작되는 농가 비중은 전년 대비 4%p 낮겠고, 5월 본격 출하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