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on
 
 
    >게시판 > 공지사항
 
2020년 농업전망 01권 [첨부파일 참조]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20-01-28 조회 1913
첨부파일 2020 농업전망 01.pdf

 2020년 농업전망 서울대회가 지난 1월 22일 서울잠실롯데호텔 3층 크리스탈볼륨에서 개최하였습니다.

 올해의 유통정책방향의 큰 골자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올해부터는 정부의 수급조절정책방향이 정부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생산자의 품목별 조직화를 강화하고 생산자 조직의 수급조절 기능을 의무화 하고 이에 대한 지원을 늘리는 방향으로 갈 것으로 보입니다.

  둘째, 농업관측의 예산을 지난 해 보다 3배 정도 늘리고 산지별 기동반을 대폭 늘리고 작물의 생육기간 동안 수 차례의 실측을 통하여 보다 더 정확한 관측통계를 통하여 정밀한 관측모델을 수립하여 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고랭지 배추의 경우는 드론을 활용하여 정밀한 관측이 올해 부처 실행될 것ㅇ로 보입니다. 

 셋째, 수급조절의 정책을 생산단계에서 공급량을 조절하는 데 그치지 않고 중간유통단계와 소비단계에 까지 영향을 관찷하고 대책을 세워 나갈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위하여 향후 생산자 조직뿐만 아니라 유통과 소비적 측면의 통합조직 (IBO)를 형성해 나아가는 방향으로 정책방향이 흘러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무, 배추 등 엽근채소의 관측전망은 작년 겨울배추의 선출하로 인해 시장가격이 지지되고 있지만 작년 고랭지배추의 여파로 봄배추의 저장물량을 고랭지배추 출하시기에 출하하려는 의향이 많은 것으로 보여 봄배추 부터(4~5월)는 재배의향이 큰 폭으로 늘어나 가격이 지속적으로 무너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월동무가 큰 폭으로 증가하여 올해에도 봄까지 무의 가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앞으로도 가격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김치의 수입량은 작년에 80만톤이 넘어가고 음식점의 75%이상이 중국산 수입김치를 소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앞으로 그 추세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더군다나 당근, 양배추, 건고추 등은 시장의 점유율이 더욱 증가하여 당근의 경우는 60% 이상을 넘을 것으로 전망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20년 농업전망 02권 [첨부파일 참조]
  2019년 김치 및 배추 수입 현황 (~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