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 엽근채소 관측 2023년 6월호
농업관측센터 엽근채소관측팀 2023. 6. 1
[ 요 약 ]
▣ 배추
□ 생산전망
: 2023년 노지봄배추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
노지봄배추 생산량: 27만 1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 재배면적: 3,463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3%, 21.1% 증가)
▷ 단수: 7,812kg/10a (전년 대비 11.4% 증가, 평년 대비 9.1% 감소)
- 노지봄배추 주산지 병해 피해 미미하여 전년 대비 작황 양호
- 터널봄배추 주산지인 경남 의령, 전남 해남은 5월 상순 강우로 일부 습해 발생
- 초기 생육기(4월 하순) 저온으로 결구 지연되고 있어 구 크기 및 단수 저하 가능성
▷ 면적 비중 큰 경북 문경, 영양 등에서 순차적으로 수확 시작되어 6월 10일 전후 성출하
□ 여름배추 생산전망
: 2023년 여름배추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
여름배추 생산량: 36만 8천 톤 (전년 대비 증가, 평년 대비 감소)
▷ 재배(의향)면적: 5,056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7%, 5.0% 감소)
- 연작에 따른 병해 증가로 인한 휴경, 타품목 전환 등으로 재배(의향)면적 감소
- 주요 대체작목은 감자, 양배추, 약용작물 등
- 육묘기 가격 약세, 늦은 추석 영향으로 전년 대비 4~6월 정식 비중 감소, 7~8월은 증가
▷ 단수: 7,278kg/10a (전년 대비 10.1% 증가, 평년 수준)
- 6월 출하 예정인 여름배추 작황은 고온 및 장마로 병해 확산되었던 전년 대비 양호
□ 수출입동향
: 5월 김치 수입량 전년 동기 대비 증가
▷ 5월(1~20일) 김치 수입량: 15,884톤 (전년 및 평년 동기 대비 증가)
- 수입단가: 544달러/톤 (전년 대비 22.2% 하락)
- 국내 판매가능가격: 9,820원/10kg (전년 대비 17.8% 하락)
▷ 5월(1~20일) 김치 수출량: 2,218톤 (전년 및 평년 동기 대비 증가)
□ 출하전망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
▷ 6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9.0%, 6.4% 증가
- 출하 비중 큰 노지봄배추 생산량 증가로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6.5% 증가, 평년 대비 8.9% 감소
- 노지봄배추 저장량 및 여름배추 생산량 늘어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
□ 참고사항
▷ 여름철 배추 수급 안정을 위해 6월 중 노지봄배추 정부 비축 예정
▷ 대량수요처 노지봄배추 저장 의향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전망
• 여름배추 생산량 변동성 심화로 안정적 배추 수급을 위해 대량수요처 저장 의향 증가 추세
- 6월 수확하는 노지봄배추 저장하여 7~9월 사이 여름배추와 병행 사용 예정
- 향후 노지봄배추 작황에 따라 실제 저장 입고량 변동 가능
□ 가격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 6월 도매가격(상품): 6,000~7,500원/10kg
- 6월 배추 출하량 전년 및 평년보다 증가하여 가격 6,000원/10kg 전망
- 가락시장 하차경매 영향 지속될 경우 7,500원/10kg 내외 상승 전망
▣ 무
□ 가격동향
: 5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도매가격(상품): 15,820원/20kg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한파로 인한 겨울무 저장량 감소로 가격 상승
□ 저장전망
: 2022년산 겨울무 재고량 전년 대비 감소, 6월 상순 출하 마무리
▷ 겨울무 재고량: 5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46.6%, 55.7% 감소)
- 저장 감모율은 한파로 인한 저장성 저하로 전년(10%) 대비 높은 13% 수준
□ 생산전망
: 2023년 노지봄무 생산량 전년 대비 증가
○ 시설봄무 생산량: 1만 9천 톤 (전년 대비 증가, 평년 대비 감소)
▷ 재배면적: 155ha (전년 대비 9.1% 증가, 평년 대비 8.6% 감소)
▷ 단수: 12,125kg/10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2.3%, 2.0% 감소)
- 비료 과다 및 출하기 고온 영향으로 생리장해(가랑이무, 열근 등) 일부 발생하여 작황 다소 부진
▷ 노지봄무 생산량: 9만 9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 재배면적: 890ha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13.1%, 9.6% 증가)
- 단수: 11,158kg/10a (전년 대비 0.7% 증가, 평년 대비 4.3% 감소)
□ 여름무 생산전망
: 2023년 여름무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증가
○ 여름무 재배(의향)면적: 2,730ha (전년 대비 3.0% 증가, 평년 수준)
▷ 전년도 출하기 가격 높았으며, 주산지 지역에서 가공공장 위주 계약재배 증가
▷ 늦은 추석(9.29.) 영향으로 5~6월 파종 비중 감소, 7월 파종 비중 증가
- 평창(진부면) 및 정선(임계면)지역 5월 상·중순 파종분 저온으로 냉해 피해 일부 발생
▷ 여름무 생산량(평년 단수 적용)은 평년과 비슷한 24만 8천 톤 추정
- 일부 포전 관리 미흡으로 생육 불균형 발생, 터널봄무 조기출하 영향으로 단수 감소
□ 가격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 6월 도매가격(상품): 12,000원/20kg 내외 (전년 대비 하락, 평년 대비 상승)
▷ 6월 출하량: 전년 대비 3.6% 증가, 평년 대비 5.2% 감소
- 겨울무 저장량 감소하였으나, 노지봄무 생산량 증가로 전체 출하량 전년 대비 증가
○ 7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평년 대비 상승
▷ 7월 출하량: 전년 대비 12.4% 증가, 평년 대비 2.0% 감소
▣ 양배추
□ 가격동향
: 5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하락
○ 도매가격(상품): 8,560원/8kg (전년 대비 하락, 평년 대비 상승)
- 겨울양배추 저장량 적었으나, 작황 양호한 노지봄양배추 출하되면서 전년 대비 가격 하락
□ 생산전망
: 2023년 봄양배추 생산량 전년 대비 감소
○ 봄양배추 생산량: 7만 1천 톤 (전년 및 평년 대비 감소)
▷ 봄양배추 재배면적: 1,615ha (전년 대비 4.6% 감소, 평년 수준)
- 시설봄양배추 재배면적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6.4%, 1.9% 감소한 476ha
- 노지봄양배추 재배면적 전년 대비 4.1% 감소, 평년과 비슷한 1,139ha, 감소한 면적 마늘 등으로 전환
▷ 봄양배추 단수: 4,352kg/10a (전년 대비 3.1% 증가, 평년 대비 2.4% 감소)
- 시설봄양배추 작황은 뿌리혹병 발병하여 평년 대비 작황 부진하나, 전년 대비 양호
- 노지봄양배추 작황은 가뭄으로 부진했던 전년 대비 양호, 출하는 5월 하순부터 시작되어 7월 상순 종료
- 순별가격: 상·중순 9,160원 → 하순 7,380원
□ 여름양배추 생산전망
: 2023년 여름양배추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증가
○ 여름양배추재배(의향)면적: 1,901ha (전년 및 평년 대비 증가)
▷지역별로 강원은 2% 증가, 경북은 3% 감소
- 강원은 배추에서 양배추로 전환, 경북은 사과 등으로 전환
- 준고랭지 7월 중순부터 평창, 청송 등에서 출하 시작, 현재 생육 초기 작황은 양호
- 생산량은 전년과 비슷하고 평년 대비 증가한 8만 5천 톤 추정
□ 가격전망
: 6월 도매가격 전년 대비 상승
○ 6월 도매가격(상품): 6,000원/8kg 내외 (전년 및 평년 대비 상승)
▷ 6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3.5%, 9.9% 감소
- 주산지 호남지역 출하면적 감소로 전체적인 출하량 감소
○ 7월 도매가격 전년 수준, 평년 대비 상승
▷ 7월 출하량: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6%, 10.0% 감소
- 노지봄양배추와 준고랭지(7월 출하분) 주산지 출하면적 줄어 출하량 감소
▣ 2023년 여름작형 재배(의향)면적 조사 결과
■ 여름배추, 당근 재배(의향)면적 전년 대비 감소, 무, 양배추는 증가
○ 여름배추: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5.7%, 5.0% 감소
- 연작 피해로 인한 휴경과 타작목 전환 등으로 재배(의향)면적 감소
○ 여름무: 전년 대비 3.0% 증가, 평년 수준
- 모든 시군 재배의향 증가, 가공공장(김치, 치킨무 등) 위주 계약재배 증가
○ 여름양배추: 전년 및 평년 대비 각각 0.9%, 11.3% 증가
- 영남지역 준고랭지 주산지 재배면적 감소했으나, 고랭지 주산지 재배(의향)면적 증가
○ 여름당근: 전년 대비 4.7% 감소, 평년 대비 7.7% 증가
- 타작목(무, 감자, 대파 등) 전환으로 전년 대비 재배(의향)면적 감소
- 여름당근 파종 낮은 기온 영향으로 다소 지연, 4~5월 파종면적 전년 대비 8~9% 감소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