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농업전망] 2023년 양념채소 수급동향과 전망
농업관측센터 양념채소관측팀 2023. 1. 18
( 내용 요약 )
■ 2022년 수급 동향
○ 2022년 양념채소 재배면적은 전년 출하기 가격 영향으로 전년 대비 8% 감소하였다.
마늘은 1% 증가하였으나, 건고추, 양파, 대파는 각각 11%, 6%, 20% 감소하였다. 생산량은 면적
감소 및 작황 부진으로 건고추, 마늘, 양파, 대파가 전년 대비 각각 21%, 7%, 16%, 7% 감소하였다.
○ 2022년 양념채소 가격은 생산량 감소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히 마늘과 양파 가격은
생산량 및 저장량 감소로 전년 및 평년보다 높아 정부는 TRQ(마늘, 양파) 및 할당관세 물량
(양파)을 도입하였다. 민간수입량도 전년 및 평년보다 증가하였다.
■ 2023년 및 중장기 수급 전망
○ 2023년 양념채소류 재배면적은 마늘이 2022년산 가격이 높아 전년보다 3% 증가하며, 양파는 비슷할
것으로 전망된다. 양파의 경우, 조생양파 면적은 전년산 가격이 낮아 2% 감소하나, 중만생종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마늘은 대서종 면적이 전년보다 6% 증가하나, 남도종 마늘이 2% 감소하고,
한지형은 비슷할 것으로 나타났다.
○ 2023년 상반기 건고추, 마늘, 양파 가격은 2022년산 재고량 감소로 평년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하나,
건고추, 마늘은 2022년 12월 가격과 비슷하고, 양파는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마늘, 양파의 경우,
2023년산 수확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4~5월부터는 가격 변화가 예상된다. 대파 상반기 가격은
겨울대파 재배면적 감소로 출하량이 적어, 전년 및 평년보다 높으나, 2022년 12월보다 낮을 전망이다.
○ 중장기 양념채소류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양파는 증가 추세이나, 건고추, 마늘, 대파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장기 국내 자급률은 양파가 94% 내외, 마늘과 대파가 각각 84%, 88% 내외를 유지하나,
건고추는 생산량 감소와 수입량 증가 추세가 이어지면서 40% 내외로 전망된다.
중장기 전망은 장기적인 인구 감소에 따른 1인당 소비량 감소와 향후 원/달러 환율 및 국제 유가,
그리고 실질 GDP, 소비자물가, GDP 디플레이터 등의 거시경제지표 전망치를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의 보고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